문래동 등 밀집 지역에 스마트 제조 환경 구축
중소기업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소공인 경쟁력 강화 방안’을 14일 발표했다. 정부가 소공인만을 대상으로 종합 지원안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소상공인 지원이 주로 전통시장 등 ‘상인’에 집중돼 있다는 지적에 따라 이번엔 ‘공인’에 초점을 맞췄다.
소공인은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기업이다. 국내에만 99만여개가 있다. 이들의 혼이 담긴 제품을 제작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일본의 ‘마치코바’(작은 공장)처럼 만들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이다.
올해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이번 계획의 핵심은 네트워크 강화다. 단순 공장밀집지역을 산·학·연 협업 공간으로 탈바꿈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별 현장 밀착지원 거점인 소공인특화센터를 작년 말 기준 36곳에서 2021년 70곳까지 늘린다. 소공인 집적지구도 4곳에서 2021년엔 20곳까지 확대한다. 집적지구로 선정되면 지방자치단체 한 곳당 50억원의 국고 지원금이 나간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생산체계도 구축한다. 소공인 공정을 연계한 생산정보체계를 마련한다. 서로 주문정보를 교환하고 생산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소공인 전용 설비자금 융자 프로그램인 ‘소공인 혁신자금’도 신설했다. 올해는 200억원을 저리로 빌려줄 예정이다.
소공인 제품에 문화·예술인 디자인을 접목한 ‘대중명품’도 만든다. 기획·생산·판로까지 한꺼번에 지원하는 사업이다.
우수 집적지를 대상으로 공동 브랜드를 개발하고 대외홍보를 하는 사업도 있다. 카카오 등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 소공인 제품을 직접 판매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연매출 50억원이 넘는 독립 온라인몰을 소공인 유통 협력사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정윤모 중기청 차장은 “정책 사각지대에 있던 소공인을 4차 산업혁명 등 제조 혁신에 적극 동참시킬 계획”이라며 “청년들이 대를 이어 가업을 하고 기술력을 높이는 소공인 사례를 많이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안재광 기자 ahnj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