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중국이 노골적인 사드보복에 나서면서 국내 마이스업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습니다.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절반 이상이 중국인인 만큼 상당한 파장이 예상됩니다.고영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점심시간 서울 명동의 모습입니다.중국인 단체관광객. 일명 유커들로 북적거리던 거리가 한산하기만 합니다.지난 2일 중국이 자국민 한국관광을 전면 금지시키면서 발걸음이 뚝 끊긴 겁니다.유커들이 주로 머물던 호텔들은 객실 이용률이 지난해 12월에 비해 60%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제주도의 경우는 문제가 더 심각합니다.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85%가 중국인이기 때문입니다.업계 관계자들은 지금보다도 앞으로 한두 달 뒤가 더 큰 문제라고 말합니다.<인터뷰>명동 A 호텔 관계자"여행을 하시는 분들이 몇 일 전에 예약을 하는게 아니라 한 달 전 두 달 전에 예약을 하지 않습니까. (그때가면 더) 안좋겠죠.”개인뿐만 아니라 중국기업들의 한국방문 일정도 줄줄이 연기되거나 취소되고 있습니다.서울시의 경우 오는 5월로 예정된 8천여 명 규모의 포상관광이 무산되면서 올해 4만여 명에 이르는 마이스 방문객 유치 계획이 불투명해졌습니다.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사드배치 문제가 불거지던 지난해 하반기부터 예고됐다는 겁니다.실제로 지난해 7월 91만 명에 이르던 중국인 관광객 수는 올해 1월 56만 명으로 크게 줄었습니다.전문가들은 유커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큰 상황에서 당장 대책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인 만큼, 마이스산업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한국경제TV 고영욱입니다.고영욱기자 yyko@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힘든 운동보다 효과적인 `이것` 자기 전 5분ㆍ송가연 "성적모욕에 로드FC 벗어나고 싶었다" 충격 발언ㆍ[카드뉴스] "피부과 의사들은 때를 밀지 않는다"‥때밀기 목욕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ㆍ엠마 왓슨, 상반신 노출화보 논란…페미니즘-페미니스트란 뭐길래ㆍ야생진드기 주의, `베개에 사는 진드기` 없애는 방법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