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반려동물 사육 인구 1000만 시대
반려동물 관련 시장 1조8000억 규모


국내 반려동물 사육 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 다섯 집 가운데 한 집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반려동물 전성시대'다.

◆ 다섯 집 가운데 한 집은 반려동물 키워

1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반려동물 보유 가구 비율은 2015년 21.8%로 2012년(17.9%)보다 3.9%포인트 높아졌다.

반려동물 사육 인구는 457만 가구, 약 1000만 명으로 추정된다. 다섯 집 가운데 한 집, 네 명 가운데 한 명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는 얘기다.

관련 시장 규모도 2012년 9000억 원에서 2015년 두 배인 1조8000억 원으로 뛰었다. 어는 2020년에는 5조8000억 원(농협경제연구소 추정)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반려동물 사육이 한국 사회의 중요한 문화 중 하나로 자리 잡자 정부도 '사람과 동물의 조화로운 공존'을 목표로 정책적 뒷받침을 준비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오는 28일께 축산정책국 방역관리과 아래 반려동물 관련 전담 조직인 '동물복지팀(가칭)'을 신설한다.

이전까지 2명이었던 동물 복지 담당 인원 수도 5명으로 늘렸다. 중앙정부뿐 아니라 각 지방자치단체도 동물 복지 전담 조직을 속속 새로 꾸리는 분위기다.

◆ 반려동물 영양제부터 전용 정수기까지

반려동물 전성시대를 맞아 반려동물 관련 용품과 서비스도 갈수록 세분화·고급화 하고 있다.

유기농 사료와 간식은 기본이고 전용 정수기와 영양제, 미용, 호텔, 교육까지 사람보다 낫다.

반려동물 식품 브랜드 '아미오'를 운영 중인 풀무원은 반려견 생일파티용 케이크와 치즈쿠키, 소간이 들어간 머핀 등을 판매한다.

임신·출산·질병 등으로 회복이 필요한 반려견을 위한 소고기 현미 영양죽, 영양보충이 필요한 반려견에게 주는 오리 안심 영양식도 있다.

KGC인삼공사의 반려동물 건강식품 브랜드 '지니펫'은 6년근 홍삼 성분과 북어 농축액으로 만든 반려동물용 영양제를 내놓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먹는 것 뿐 아니라 반려동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고가, 첨단 제품도 많다.

그릇이 비워지면 자동으로 급수하는 반려동물 전용 생수기, 집 밖에서도 집 안에 있는 반려동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카메라(CCTV) 등도 온오프라인 유통업계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해외 명품 브랜드는 일찌감치 반려동물 용품 시장에 진출했다. 루이뷔통은 352만 원짜리 애완견 가방, 52만5000 원짜리 애완견용 줄, 45만 원짜리 개목걸이 등을 팔고 있다.

반려동물을 위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통업체의 전문 매장도 늘고 있다.

이마트는 반려동물 전문 매장인 '몰리스펫샵'을 운영 중이다. 이곳은 반려동물 사료와 위생용품 뿐 아니라 이들이 편히 쉬도록 돌봐주는 전용 호텔, 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 스튜디오까지 갖췄다.

◆ 동물 학대, 유기·유실도 끊이지 않아

하지만 반려동물 사육 인구 규모와 비례해 관련 사회 문제도 갈수록 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는 동물 학대 행위가 주요 화제로 자주 오르내린다.

2012년에는 자신의 비글종 개를 에쿠스 트렁크에 매단 채 질주한 '악마의 에쿠스' 사건이 있었고, 2015년에는 길고양이 600마리를 잡아 나비탕 재료로 건강원에 판 업자가 적발되기도 했다.

동물 학대 혐의로 고발되는 사례는 2013년 160건에서 2015년 287건까지 급증했지만, '고의성' 입증이 쉽지 않아 실제 기소되는 경우는 고발 사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재미삼아 반려동물을 집에 들였다가 무책임하게 버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해마다 8만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이 고의로 버려지거나(유기), 길을 잃고(유실) 있다.

이에 따라 2015년 유실·유기동물 처리비용은 128억9천만 원으로 1년 전보다 23.5%나 늘었다.

정부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APMS) 데이터베이스를 보완하고, 국민들에게 반려동물 기본상식·관련 법령·훈련방법 등에 대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