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수출증가율 등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높아
기저효과·대외 요인은 고려안해
고용률, 박근혜 정부가 가장 높고
중산층 비율, 박근혜 정부 > DJ > 노무현 정부
◆단순 성장률은 높지만…
각 정권의 경제성장률을 단순 비교해보면 이른바 ‘진보정권’의 성적표가 더 낫다. 김대중 정부(1998~2002년)와 노무현 정부(2003~2007년)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단순 평균치)은 각각 5.3%, 4.5%로 이명박 정부(2008~2012년·3.2%)와 박근혜 정부(2013~2016년·2.9%)를 월등히 앞선다. 수출 실적 역시 김대중·노무현 정부가 압도했다. 노무현 정부 평균 수출 증가율은 18.2%에 달했지만 이명박, 박근혜 정부는 각각 9.1%, -2.4%를 기록했다. 1인당 국민소득은 2015년 9년 만에 감소세(-2.6%)로 돌아섰다.
하지만 경제성장률 숫자를 단순 비교하는 건 큰 의미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우선 김대중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출발했다. 집권 첫해 마이너스(-5.5%) 성장에서 시작했지만 그 다음해 기저효과로 11.3%라는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성장률은 경제가 고도화될수록 잠재성장률 하락 등을 이유로 저성장을 지속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순비교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세계경제 성장률과 비교하면 노무현 정부(4.5%)는 오히려 세계경제 성장률(5.1%)보다 못한 성적표를 기록했다. 이명박 정부(3.2%)는 비슷한 수준을, 박근혜 정부(2.9%)는 세계 성장률(3.3%)을 소폭 밑돌았다.
외환보유액 역시 외환위기 직후 바닥에서 시작해 경제가 정상화되면서 증가율이 2000년 초까지 급증했다. 주가 상승률도 외환위기에서 경제가 빠르게 회복한 데다 정보기술(IT) 붐이 일면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가 더 높았다.
◆불평등 지수는 더 개선
문 전 대표가 언급한 수치 중 틀린 것도 있다. 고용률이 그렇다.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면서 고용률 역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다. 박근혜 정부의 단순 평균 고용률은 60.1%를 기록했다. 지난해 고용률은 60.4%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공식 실업률은 하락 추세다.
문 전 대표가 언급하지 않은 수치도 있다.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값이 커질수록 소득분배 불평등이 심화)가 그것으로, 노무현 정부 때부터 급격히 나빠졌다. 김대중 정부 시절 평균 0.279이던 지니계수는 노무현 정부 기간 중 지속적으로 상승해 2007년 0.292까지 치솟았다. 2009년 최고치(0.295)를 찍은 지니계수는 2010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며 2015년 0.269를 기록했다.
중산층(중위소득 50% 초과~150% 미만 비율) 비율 역시 노무현 정부 집권 3년차부터 하락해 정권 말기엔 67.0%까지 떨어졌다. 이명박 정부 중반부터 다시 상승한 중산층 비율은 2015년 72.6%로 나타났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노무현 정부 시기 소득 불평등도가 커진 건 외환위기 이후 자영업자가 늘어나고 제조업 역시 노동집약적 체제에서 기술집약적 체제로 급격하게 바뀌던 시기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 지표에는 국내 요인 못지않게 대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며 “단순 수치로 진보정권이나 보수정권이 경제를 더 잘 챙긴다고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