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매티스 국방, 이란 비난…이란, 美제재에 보복 조치 방침

이란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 이후 미국과 이란의 강대강 대결 국면의 수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미국이 이란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공식 제재에 착수한 뒤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자 이란도 보복 조치 방침을 밝히며 '맞불 대응'에 나섰다.

4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일본을 방문 중인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이란에 관해 말하자면 세계 최대 '테러 지원국(state sponsor of terrorism)'"이라고 비난했다.

매티스 장관은 다만 대응 방안의 하나로 중동에 주둔하는 미군을 늘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매티스 장관은 "무시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지만, 동시에 지금 이 시기에 중동 병력을 늘려야 할 필요성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매티스 장관의 이란 비난 발언은 미국 정부가 이란에 제재 조치를 발표한 뒤 나왔다.

미국 재무부는 이란의 미사일 도발에 13명의 개인과 12개 단체 등이 미국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한 제재 조치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이란의 이스트스타와 어빈 대네쉬, 레바논의 마헤르 무역과 미라지 공업, 중국의 코세일링 무역 등 이란, 아랍에미리트, 레바논, 중국 국적의 개인과 기관·회사가 포함됐다.

존 스미스 재무부 제재국장 대행은 "우리는 이 행동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 제재를 포함한 모든 가능한 도구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추가 제재는 이란 핵 프로그램을 직접 겨냥한 것은 아니며 버락 오바마 대통령 시절 이란과 체결한 핵 합의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도 곧바로 응수에 나섰다.

이란 정부는 미국의 제재에 맞서 미국의 개인과 회사를 상대로 보복 조치를 하겠다고 발표했다.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미국의 새로운 움직임에 대응 조치로 극단주의 테러리스트 지원·형성에 역할을 한 일부 미국인과 회사에 법적인 제재를 가하겠다"고 성명을 냈다.

앞서 미국 백악관은 지난달 29일 이란이 테헤란 동쪽 셈난 지역에서 사거리 1천㎞ 이상의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주장했다.

이란은 며칠 뒤 미사일 발사 사실을 시인하며 "이란의 자주국방 문제에 어느 나라도 개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수진 기자 gogog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