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



최순실 '미얀마 원조사업 이권개입' 관련성도 조사 가능성

'비선 실세' 최순실(61)씨 단골 병원인 '김영재의원'의 특혜 의혹과 관련해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2일 오후 박영수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출석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 1시 53분께부터 정 차관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정 차관은 김영재 원장 부인 업체가 정부 지원금 대상자로 선정된 게 맞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맞잖아요"라면서도 "(규모가) 15억원이 아니라 2억5천만원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원장 측의 중동 진출을 지원한 바 있느냐', '청와대나 안종범 전 수석의 지시가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관여하지 않았다.

제가 관여할 데가 아니다"라며 "자세한 얘기는 특검에서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 차관은 미얀마 공적개발원조사업(ODA) 추진 과정에 최순실씨가 개입한 걸 알았느냐는 질문에는 "당시에는 몰랐다"고 답했다.

특검팀은 정 차관을 상대로 김영재 원장이 최씨의 도움 속에 정부 지원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는 의혹과 관련한 사실관계를 캐묻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 차관이 청와대 산업통상자원비서관이던 2015년 김영재 원장 부인 박채윤 씨가 대표인 의료기기업체가 '김영재 봉합사'로 불리는 의료용 실의 연구·개발을 목적으로 한 정부 지원금 대상자로 선정된 배경 등이 주요 대상이다.

박씨의 의료기기업체 와이제이콥스메디칼은 당시 15억원 규모의 지원금 대상자로 선정됐는데, 이 과정에서 청와대의 '밀어주기'가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산자부가 2015년에 R&D 지원과제로 3개를 선정했다가 갑자기 성형수술용 봉합사 연구를 추가했다고 지난해 11월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적한 바 있다.

당시 우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안종범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이 김진수 보건복지비서관에게 지시하자, 김 비서관이 정만기 당시 산업통상비서관에게 도와달라고 해 이뤄진 일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밖에 최씨가 미얀마 ODA 추진 과정에서 부당하게 사익을 챙기려 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당시 산업통상자원비서관이던 정 차관을 상대로 조사 가능성이 거론된다.

정 차관은 2014년 8월부터 산업통상자원비서관으로 일하다 지난해 8월 산자부 1차관에 임명됐다.

(서울연합뉴스) 최송아 이보배 기자 song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