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희중기중앙회부회장0_(1)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시행 이후 소상공인은 매출이 30% 이상 줄어들 정도로 경영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금융회사들이 무차별 자금 회수에 나선다면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량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연쇄 도산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송재희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61·사진)은 최근 금융회사들의 잇단 자금 회수 움직임에 우려를 나타냈다. 송 부회장은 “중소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현재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조사’를 보면 10곳 중 8곳 이상의 업체(85.7%)가 ‘우려할 만한 상황’이라고 답했다”고 설명했다.

송 부회장은 이어 “국내외적으로 중소기업들이 지금처럼 동시다발적인 위기에 노출된 적이 거의 없었다”며 “내수 부진, 정치적인 혼란, 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지면서 앞이 안 보이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상황에서 미국 금리 인상, 국내 금융회사의 가파른 대출금리 인상과 재무구조가 나쁜 기업에 대한 자금 회수 등이 겹칠 경우 건전한 중소기업까지 재기불능 상태에 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정부 방침에 따라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이 내년부터 ‘고액·장기 신용보증거래자’에 대한 보증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면 자칫 중견기업으로 위기가 옮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송 부회장은 “독일은 ‘관계형 금융’을 통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금융회사들이 오히려 중소기업 대출을 늘렸다”며 “국내 금융회사도 이런 전략을 통해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 올 때 우산을 빼앗는 게 아니라 오히려 우산을 더 빌려주고 호황이 닥치면 과실을 공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금융회사는 기업을 평가할 때 재무제표와 같은 상환 능력에만 의존하지 말고 기업인의 신용도 기술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