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가운데 12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가축방역대책본부에서 한 관계자가 AI 지역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가운데 12일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가축방역대책본부에서 한 관계자가 AI 지역별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13일 밤 12시부터 48시간 동안 전국 가금류 관련 사람과 차량, 물품 등을 대상으로 일시 이동중지(스탠드 스틸) 명령을 발령한다고 12일 발표했다.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가금류 살처분이 1000만마리를 넘으면서 역대 최단 기간 내 최대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자 이에 따른 대응책을 내놓은 것이다. 일시 이동중지 적용 대상은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에 등록된 8만9000개소다.

김경규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충북 음성·진천, 경기 포천 등에서는 방역대 내 오염 지역에서 차량 등을 통해 인근 농장으로 전파가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산란계 농장의 알 운반 차량 등은 오염지역 노출 빈도가 높아 다른 지역으로 전파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확진 및 예방 차원에서 도살 처분된 가금류는 887만8000마리로 집계됐고, 앞으로 154만1000마리가 추가로 도살 처분될 예정이다. 2014년에는 195일 동안 1396만마리가 살처분됐는데, 현재 추세대로라면 올해는 역대 최단 기간 내 최대 피해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로 첫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범정부적인 대응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국민안전처는 이날 이성호 차관 주재로 관계 부처와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이 참여한 AI 대책 강화를 위한 점검회의를 열고 총력대응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AI가 발생한 지자체는 지역방역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나 앞으로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체제로 전환하고, 미발생 지역도 이에 준하는 수준으로 예방과 대응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