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자·맥주 이어 화장품도… 로레알, 평균 6%↑
인상요인 누적, 커피·라면도 오를 가능성


과자와 콜라, 맥주에 이어 화장품까지 가격 인상 대열에 동참하면서 '최순실 게이트'로 어수선한 틈을 타 소비재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프랑스 화장품 브랜드 로레알은 최근 랑콤, 비오템, 키엘, 슈에무라, 입생로랑, 조르지오 아르마니 등 계열사 화장품 가격을 평균 6% 인상했다.

이번 인상 조치로 가격이 오른 품목은 랑콤은 20여 개, 슈에무라는 200여 개,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300여 개에 달한다.

브랜드별 대표 품목으로는 ▲ 랑콤 워크 더 라임 틴트(3만3천 원→3만5천 원) ▲ 랑콤 이드라젠 네오캄 젤크림(8만 원→8만5천 원) ▲ 조르지오 아르마니 플루이드 쉬어(6만9천 원→7만2천 원) ▲ 슈에무라 프레스트 아이섀도(1만9천 원→2만1천 원) 등이다.

로레알코리아는 최근 화장품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수입 원가가 올랐고 인건비와 물가도 상승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종합 화장품 회사이기도 한 로레알은 산하에 거느린 브랜드만 500여 개에 달하며 국내 화장품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말 기준 19.6%(백화점 기준)로 3위다.

로레알뿐 아니라 프랑스 자연주의 화장품으로 유명한 록시땅도 이달 1일부터 주요 제품의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이에 따라 록시땅의 베스트셀러 상품인 시어버터 핸드크림은 2만6천 원에서 2만7천 원으로, 시어버터 보디로션은 4만 원에서 4만2천 원으로 각각 올랐다.

앞서 맥주업계 1위인 오비맥주가 4년 3개월만에 카스 등 주요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6% 올렸고, 코카콜라도 약 2년 만에 콜라와 환타 출고가를 평균 5% 인상하는 등 서민·중산층이 애용하는 소비재 가격의 인상이 잇따르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 들어 국제 커피원두 가격이 30% 이상 급등하면서 각종 커피음료도 인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고, 오랫동안 오르지 않은 라면도 인상설이 나오는 등 연말연시를 전후해 여타 소비재의 가격 인상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열 기자 passi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