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밸리 싱가포르 투자사 미스터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문화사업에 드리운 '최순실 그림자'
연 12.45% 고금리…한 해 이자 수익만 41억
K컬처밸리 확정 후 방사완 설립
경기도의회 "회사 실체 의심"
'한류마루'서 K컬처밸리로 1주일 만에 사업 계획 변경
"차은택 개입 의혹" 주장도
연 12.45% 고금리…한 해 이자 수익만 41억
K컬처밸리 확정 후 방사완 설립
경기도의회 "회사 실체 의심"
'한류마루'서 K컬처밸리로 1주일 만에 사업 계획 변경
"차은택 개입 의혹" 주장도
문화체육관광부의 ‘K컬처밸리’ 사업에 투자한 싱가포르 투자사 방사완브라더스(이하 방사완)를 둘러싸고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국정 개입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 씨의 핵심측근 차은택 씨가 연루된 것으로 알려진 이 사업에 10%를 지분 투자한 방사완의 정체가 불투명한 데다 K컬처밸리 사업자인 CJ E&M이 발행한 전환사채를 방사완이 연 12.45%의 고금리에 전량 인수했기 때문이다. 매년 41억원에 달하는 이자를 10년 동안 방사완이 챙겨가는 것은 저금리 기조 등에 비춰 지나치다는 지적이다.
증권업계 “이해할 수 없는 금리”
K컬처밸리는 문체부가 지난해 2월부터 추진 중인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CJ E&M과 방사완이 합작한 CJ컨소시엄이 내년까지 1조4000억원을 들여 경기 고양시 대화동에 축구장 46개 규모의 테마마크와 공연장 등을 지을 계획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 E&M은 지난해 12월 자회사 ‘케이밸리’를 세우고 올해 6월10일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K컬처밸리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를 방사완이 인수했다. 만기는 10년, 표면금리는 연 12.45%다. 방사완은 이보다 1주일 전인 6월3일 50억원을 투자해 자본금 500억원의 케이밸리 지분도 10% 사들였다.
증권업계에선 연 12.45%는 지나치게 높은 금리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 증권사의 채권담당 애널리스트는 “전환사채는 시중금리보다 낮게 발행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CJ E&M이 아니라 신생 회사 케이밸리 지분을 사들인 리스크를 감안하더라도 고금리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CJ E&M이 케이밸리 지분 90%를 보유하고 있어 원금에 대한 지급 보증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굳이 매년 41억원의 이자를 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설립 시기도 의혹 더해
방사완의 설립 시기는 이런 의혹을 더 키우고 있다. 방사완은 지난해 6월 설립됐다. 경기도와 CJ E&M이 지난해 2월 K컬처밸리 조성을 위한 투자의향서를 체결하고 한참 지나서다. 신생 회사가 덜컥 K컬처밸리에 투자한 것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전환사채 발행지역은 케이맨제도다. 한 애널리스트는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일부 의원은 방사완이 페이퍼컴퍼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재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다른 외국 투자사들은 대규모 사업에 투자하고 나면 직접 해당 지역을 찾아오는데 방사완 측에선 단 한 명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이 사업에 끌어들이기 위해 설립한 페이퍼컴퍼니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CJ는 “케이밸리가 신생 회사라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만기를 1년 단위로 계속 연장할 수 있어 괜찮은 조건”이라고 해명했다. 방사완에 대해선 “페이퍼컴퍼니가 아니며 투자를 잘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차은택 씨 개입했나
차씨가 K컬처밸리사업 개입과 연결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K컬처밸리가 들어설 땅은 원래 영상산업단지 ‘한류마루’를 조성하려던 곳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5일 한류마루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돌연 엿새 후인 2월11일 K컬처밸리 조성을 위해 CJ E&M과 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박용수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은 “차씨가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문화창조벤처단지 개소식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업자 선정에 관여했다는 얘기가 나온다”며 “K컬처밸리에 차씨가 직접 개입하고 방사완도 이와 얽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CJ그룹이 K컬처밸리에 어쩔 수 없이 참여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CJ는 K컬처밸리와 비슷한 테마파크 등을 지을 땅을 제주도에서 물색하고 있었다. 갑자기 경기도로 사업 지역이 바뀐 것이다. CJ는 “지방보다 수도권의 사업 전망이 밝아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K컬처밸리는 문체부가 지난해 2월부터 추진 중인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CJ E&M과 방사완이 합작한 CJ컨소시엄이 내년까지 1조4000억원을 들여 경기 고양시 대화동에 축구장 46개 규모의 테마마크와 공연장 등을 지을 계획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 E&M은 지난해 12월 자회사 ‘케이밸리’를 세우고 올해 6월10일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K컬처밸리 건설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이를 방사완이 인수했다. 만기는 10년, 표면금리는 연 12.45%다. 방사완은 이보다 1주일 전인 6월3일 50억원을 투자해 자본금 500억원의 케이밸리 지분도 10% 사들였다.
증권업계에선 연 12.45%는 지나치게 높은 금리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 증권사의 채권담당 애널리스트는 “전환사채는 시중금리보다 낮게 발행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CJ E&M이 아니라 신생 회사 케이밸리 지분을 사들인 리스크를 감안하더라도 고금리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CJ E&M이 케이밸리 지분 90%를 보유하고 있어 원금에 대한 지급 보증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굳이 매년 41억원의 이자를 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설립 시기도 의혹 더해
방사완의 설립 시기는 이런 의혹을 더 키우고 있다. 방사완은 지난해 6월 설립됐다. 경기도와 CJ E&M이 지난해 2월 K컬처밸리 조성을 위한 투자의향서를 체결하고 한참 지나서다. 신생 회사가 덜컥 K컬처밸리에 투자한 것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이 나오는 이유다. 전환사채 발행지역은 케이맨제도다. 한 애널리스트는 “조세 회피를 목적으로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경기도의회 일부 의원은 방사완이 페이퍼컴퍼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재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다른 외국 투자사들은 대규모 사업에 투자하고 나면 직접 해당 지역을 찾아오는데 방사완 측에선 단 한 명도 찾아오지 않았다”며 “이 사업에 끌어들이기 위해 설립한 페이퍼컴퍼니란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CJ는 “케이밸리가 신생 회사라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다”며 “만기를 1년 단위로 계속 연장할 수 있어 괜찮은 조건”이라고 해명했다. 방사완에 대해선 “페이퍼컴퍼니가 아니며 투자를 잘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선정한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차은택 씨 개입했나
차씨가 K컬처밸리사업 개입과 연결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K컬처밸리가 들어설 땅은 원래 영상산업단지 ‘한류마루’를 조성하려던 곳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2월5일 한류마루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돌연 엿새 후인 2월11일 K컬처밸리 조성을 위해 CJ E&M과 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
박용수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은 “차씨가 박근혜 대통령과 함께 문화창조벤처단지 개소식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업자 선정에 관여했다는 얘기가 나온다”며 “K컬처밸리에 차씨가 직접 개입하고 방사완도 이와 얽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CJ그룹이 K컬처밸리에 어쩔 수 없이 참여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CJ는 K컬처밸리와 비슷한 테마파크 등을 지을 땅을 제주도에서 물색하고 있었다. 갑자기 경기도로 사업 지역이 바뀐 것이다. CJ는 “지방보다 수도권의 사업 전망이 밝아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