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은행들의 중도금 대출(집단대출) 심사가 더 깐깐해질 전망이다.주택금융공사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 1일부터 중도금 대출 보증비율을 100%에서 90%로 낮춘 데 따른 것이다.10%의 리스크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은행들은 대출금을 떼일 가능성이 없는지를 더 꼼꼼히 들여다볼 수밖에 없게 됐다.중도금 대출 보증비율이 낮아진다고 해서 분양자가 대출받을 수 있는 액수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분양가가 5억원인 아파트를 분양받을 경우, 통상 중도금 대출이 분양가의 60%인 만큼 3억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는 점은 이전과 같다.이 3억원을 대출자가 갚지 못하거나 아파트 건설 사업이 중단될 경우, 지금까지는 보증을 선 주금공·HUG가 대출금 전액을 갚아줬다. 은행 입장에선 리스크가 전혀 없었다.하지만 이제부터는 2억7천만원만 갚아준다는 뜻이다.이렇게 되면 은행이 중도금 대출을 심사할 때 대출자의 상환능력이나 사업의 타당성 등 대출심사 기준을 자체적으로 강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은행의 위험부담이 커지는 만큼 중도금 대출 금리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은행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우선 건설사·시공사가 체결하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부터 엄밀하게 심사할 것으로 보인다.일부 차주에 대해서는 담보를 추가로 요구하는 등 신용을 보강하는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크다.보증해줄 수 있는 여력이 있는 우량 시공사가 시공하는 아파트에만 중도금 대출이 쏠릴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또 같은 아파트를 분양받았더라도 분양자의 소득·신용도에 따라 대출 한도와 금리를 차등화할 것으로 보인다.금융당국 관계자는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고객별로 대출금리·한도 차별화를 할 수 있다"며 "대출 관리가 더 강화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디지털뉴스팀]한국경제TV 핫뉴스ㆍ브아걸 나르샤 결혼…이상형 묻자 "벗은 거 보고 선택하겠다"ㆍ금융당국 "도이체방크 리스크, 국내 금융사 직접영향 적어"ㆍ`무한도전` 500회 예고…예능이 아닌 듯한 박명수 "어디서 삿대질이야"ㆍ지진 여파?…부산 4층 빌라 `기우뚱`, 주민 대피ㆍ철도파업 5일째…화물열차 운행 31%, 물류차질 계속ⓒ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