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센터서 '활 비파괴검사'·'맞춤형 그립' 등 제공

브라질 리우올림픽에서 금메달 4개를 거머쥐며 전 종목을 석권한 한국양궁 뒤에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현대차그룹의 지원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기아차 연구개발센터는 양궁협회와 함께 이번 리우올림픽 양궁 출전 선수들에 대해 ▲ 활 비파괴검사 ▲ 맞춤형 그립 ▲ 슈팅 머신 ▲ 뇌파측정 훈련 등 4개 분야에서 기술지원을 했다.

현대차그룹은 양궁선수들이 평소 필요하다고 생각한 내용을 듣고 자동차 연구개발(R&D) 기술을 적용해 지원했고, 실리콘밸리의 신기술까지 도입했다.

먼저 현대차그룹 내 재료개발센터는 신차 개발 시 부품의 내부 균열 여부를 분석하는 기술을 동원해 육안으로 알기 어려운 활 내부의 균열 여부를 확인하는 '활 비파괴검사'를 했다.

비파괴검사는 신차 개발 시 '3D CT(컴퓨터 단층촬영)' 장비를 사용해 수만 장의 사진을 찍은 뒤 부품을 3차원 영상으로 재현해 내외부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이다.

지난 6월 말 이 기술을 적용한 검사를 해보니 일부 선수가 사용하는 활 날개 내부에 미세한 균열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돼 활 날개를 교체할 수 있었다.

이는 2008년 베이징대회 때 한국 남자양궁의 간판이던 박경모 선수가 베이징으로 떠나기 직전 평소에 사용하던 활이 부러진 것을 알게 돼 결국 익숙하지 않은 새 활로 경기를 치러야 했던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것이었다.

보통 리커브 활의 날개는 서로 다른 5층의 재질로 돼 있어 육안으로는 이상이 있는지 알기 어렵다.

또 반복되는 활의 당김과 쏘는 과정에서 날개 내부에 데미지(손상)가 축적되므로 경기 도중이나 직전에 활이 부러질 위험성이 있다.

이번 검사로 선수들은 장비 파손에 대한 선제 대응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심할 수 있었다고 한다.

현대기아차 디자인센터는 '3D 스캔 기술'을 활용, 활의 중심에 덧대는 '그립'을 선수들의 손에 꼭 맞게 맞춤형으로 여러 개 제작해 제공했다.

통상 선수들은 활의 중심에 덧대는 '그립'의 경우 기성품을 칼로 깎거나 찰흙을 덧대는 방법으로 직접 손질해 자신만의 수제품으로 만든다.

리우 대회처럼 장기간 경기가 벌어지는 도중에 그립에 손상이 가면 새 그립을 다시 손에 맞게 다듬어야 해 컨디션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또 1~2mm 오차로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데 다시 똑같이 만들기도 어려워 애로사항이 많았다.

현대기아차 디자인센터가 맞춤형 그립 제작에 활용한 3D 스캔은 신차 개발에 꼭 필요한 과정이다.

신차 디자인이 결정되면 먼저 내외부를 그대로 재현한 실물 크기의 클레이(찰흙) 모델을 제작, 3D 스캐너로 꼼꼼하게 살핀 뒤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를 설계하게 된다.

현대차그룹은 3D 프린터와 기술을 활용해 선수들이 이미 손에 맞게 손질한 그립을 미세한 흠집까지도 스캔해 그 모습 그대로 3D 프린터로 재현해 리우 대회에 출전한 선수별로 한 명당 5개씩을 건넸다.

현대차그룹과 양궁협회는 균일한 품질의 화살을 분류하는 자동화 기기인 '슈팅 머신(화살분류기)'을 함께 제작했다.

양궁에서 화살은 활과 함께 필수 장비이다.

선수들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자신에게 맞는 화살을 골라내기 위해 직접 활시위를 당기며 테스트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

이번에 개발한 슈팅머신은 50m 거리에서 화살을 쏴 신규 화살의 불량 여부를 테스트하는 기기이다.

힘, 방향, 속도 등 동일한 조건에서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해 선수의 컨디션, 날씨, 온도 등에 제한 없이 화살 분류가 가능해진 것이다.

슈팅머신을 통해 1차로 불량 화살을 솎아내면 선수들은 테스트를 통과한 화살 중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골라냈다.

2중의 화살 분류를 통해 선수들에게 가장 적합한 화살을 찾아낸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실리콘밸리의 뇌파 분석 기술 '뉴로피드백'을 훈련에 적용해 선수들의 집중력을 높였다.

양궁선수들이 활을 쏠 때 하는 모든 행동을 세분화해 뇌파를 측정, 분석해보니 어떤 행동을 할 때 가장 집중력이 높은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선수들에게 알려줘 훈련에 반영토록 했다.

평상시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폰 게임도 도입했다.

'활쏘기', '공 띄우기' 게임을 통해 뇌의 활성화를 촉진해 집중·이완도를 높였다.

'리우대회 전관왕'을 목표로 추진된 이번 프로젝트는 대한양궁협회장을 맡고 있는 현대차 정의선 부회장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최강의 경기력을 갖춘 한국양궁이지만 자동차 R&D 기술을 적용하면 장비의 품질과 성능이 좀 더 완벽해지고 선수들의 정신력 강화 등 경기 외적인 변수를 없앨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지원은 기업이 가진 자원과 전문성을 활용해 스포츠 발전 등 사회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가치를 창출한 대표적인 CSV(공유가치창출) 활동이라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yjkim8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