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효과 `시들`…"증시 부양 미지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정부가 하반기 11조원 규모의 추경을 집행할 예정이지만 우리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입니다.실질적으로 경기활성화에 쓰일 자금이 기대에 못미치고 최근들어 정책 효과가 약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임동진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1998년부터 지난해 까지 총 16차례의 추경이 집행된 뒤 3개월 후 코스피 상승률은 평균 9.5%였습니다.경기 회복 기대감이 증시를 끌어올리는 마중물이 된 겁니다.하지만 이번 추경에는 과거와 같은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총 11조원의 추경 중 조선업 구조조정과 지방재정에 들어가는 금액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경제활성화와 민생 안정에 쓰일 재원은 4조원 수준에 머무릅니다.<인터뷰>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실제 경기 쪽에 투여되는 금액 자체가 크지 않다는 수준에서 보면 성장에 주는 임팩트가 강하게 나오기는 어렵지 않을까. 또 상반기에 재정지출이라든지 재정을 선 집행 한 효과 등을 감안하면 그 효과 자체가 강하게 나오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 아닌가 생각 한다”게다가 정책효과가 약화되면서 과거처럼 추경이 주가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입니다.실제로 지난해와 2013년에는 추경 국회 통과 후 3 개월 뒤 코스피지수는 오히려 소폭 하락했습니다.브렉시트의 여파, 미국 대선 등 증시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대외 변수도 증시 상승을 제한하고 있습니다.그래도 전문가들은 은행과 내구소비재, 자동차, 의류 업종 등에서 일부 수혜를 전망하고 있습니다.<인터뷰> NH투자증권 안기태 연구위원“지난 5번 추경에서 내구 소비재가 5번 모두 코스피를 아웃퍼폼(수익률 상회)했고, 은행도 4번 아웃퍼폼했으니까 상대적으로 이 업종에 유리한 것은 맞다”다만 은행의 경우 구조조정 이슈가 맞물려 있고, 자동차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된 만큼 시장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한국경제TV 임동진입니다.임동진기자 djli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원인 모를 부산 가스, 지진 전조 증상?… 누리꾼 `불안감 호소`ㆍ[포토] 컴백 길건 “중독성 노래, 팬들 난리나”...완전 감동이래!ㆍ부산 가스 냄새, 해안가 위주 매캐한 냄새 진동…“설마 지진?” 온라인 ‘술렁’ㆍ에프엑스 “들을수록 예쁜 노래”...All Mine ‘오늘 최고 인기’ㆍ해피투게더3 “여심을 사르르 녹이네”...박태윤 개그감 웬일이야!ⓒ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