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美금리 전망 영향…6월 8.7원으로 4년 8개월만에 최대

올해 국제금융시장 불안에 따라 원/달러 환율이 크게 출렁이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16년 2분기 중 외환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4∼6월) 원/달러 환율의 하루 중 최고가와 최저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일중 변동폭'은 7.7원(변동률 0.66%)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 경제 불안과 국제유가 급락의 영향을 받은 올해 1분기(8.2원) 보다는 약간 축소됐지만 예년 연평균 변동폭에 비해서는 훨씬 높은 수준이다.

연평균 변동폭은 2012년 4.2원, 2013년 5.2원, 2014년 4.9원, 지난해 6.6원 등으로 최근 4년 동안 7원을 넘지 않았다.

지난 2분기 일중 변동폭을 월별로 살펴보면 4월 8.2원에서 5월에는 6.0원으로 작아졌다가 6월에는 8.7원으로 확대됐다.

특히 6월은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가 컸던 2011년 10월(11.4원)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결정된 지난달 24일에는 33.2원을 기록할 정도로 변동성이 컸다.

2분기 원/달러 환율의 전일 대비 변동폭(종가기준·변동률 0.56%)은 6.5원으로 1분기와 같았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원/달러 환율이 2분기에도 높은 변동성을 이어갔다"며 "브렉시트와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 변화 등으로 환율의 등락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환율의 변동성이 크면 국내 수출입업체들은 환리스크 관리와 경영 전략을 짜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주요 20개국(G20) 국가 통화의 평균 전일 대비 변동률은 0.60%로 1분기(0.65%)보다 다소 낮아졌다.

한국 통화의 2분기 변동률 0.56%는 남아프리카공화국(1.05%), 브라질(1.02%), 러시아(0.96%), 멕시코(0.75%) 보다 낮았다.

그러나 중국(0.12%), 인도(0.21%), 인도네시아(0.45%), 아르헨티나(0.53%) 보다는 높았다.

2분기 중 평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63.3원으로 전분기(1,200.9원)에 비해 37.6원 하락했다.

원/엔 재정환율은 올해 2분기 평균이 100엔당 1,078.2원으로 1분기(1,042.4원)보다 35.8원 상승했다.

원/위안 환율은 평균 177.70원으로 1분기(183.13원)보다 5.43원 떨어졌다.

원화와 달러화의 외환거래 규모는 감소했다.

올해 2분기 은행 간 시장의 하루 평균 외환거래 규모(외국환중개회사 경유분 기준)는 232억3천만 달러로 전분기(247억2천만 달러) 보다 14억9천만 달러(6.1%) 줄었다.

국내 기업의 선물환 거래 규모는 1분기 388억 달러에서 2분기 328억 달러로 감소했다.

지난 5월 환율 상승에 따라 기업들은 선물환 순매도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비거주자의 차액선물환(NDF) 거래에서 순매입 규모(국내 외국환은행과의 매매 기준)는 91억6천만 달러로 1분기(148억6천만 달러)보다 축소됐다.

2분기에 매입과 매도를 합친 하루 평균 거래 규모는 79억5천만 달러로 전분기(97억3천만 달러)에 비해 18.3% 줄었다.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noja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