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희 "온 힘 다해 피는 꽃처럼 지금 이 순간에 최선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시선집 '지금 장미를 따라' 개정판 낸 문정희 씨
우리 사회 생명보다 물질적 가치·속도전에 함몰
시인은 부당한 가치관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태야
우리 사회 생명보다 물질적 가치·속도전에 함몰
시인은 부당한 가치관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태야
등단 47년을 맞은 시단의 원로 문정희 시인(69)이 시선집 《지금 장미를 따라》(민음사)를 냈다. 2009년 출간한 같은 제목의 시선집에 새로 쓴 작품 40여편을 추가하고 기존 작품을 수정한 개정증보판이다. 문 시인 특유의 생명과 역동성, 삶에 대한 애정 등이 강하게 느껴지는 시들이 담겼다. 서울 삼성동의 한 찻집에서 문 시인을 만났다. 그는 자신의 시 세계를 ‘꽃’이라는 한마디로 요약했다.
“꽃은 이 순간 최선을 다해 아낌없이 활짝 피어있는 존재입니다. 꽃처럼 사람도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는 걸 시를 통해 말해왔어요. 꽃은 곧 시들기 때문에 피어있는 그 순간이 더 아름답습니다. 사람의 생명도 마찬가지죠.”
이번 시선집에 담긴 시들은 “이 순간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라”는 일관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집을 읽다 보면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로 유명해진 서양 격언 ‘카르페 디엠(carpe diem: 현재를 즐겨라)’을 떠올리게 된다. 표제작인 ‘지금 장미를 따라’는 문 시인이 멕시코 여성 화가 프리다 칼로의 생가를 방문한 뒤 쓴 시다. 문 시인은 그의 집에서 “아무것도 없었다/ 사랑도 광기도 혁명도/ 무엇으로 쓸어야 이리 없는 것인지/ 빈 뜰인지”라며 황량함을 느낀다. 그 황량함은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은 소멸된다는 교훈과 함께 “시간이 있을 때 장미를 따라/ 지금을 즐겨라”라는 메시지를 준다.
“시를 통해 생명의 근원을 노래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죽음과 삶 등은 얼핏 대립되는 듯하지만 모두 생명의 핵심을 구성하는 존재거든요. 어느 정도 불교적인 철학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그가 보기에 우리 사회는 이런 생명의 소중함을 점점 잊고 있다. 그동안 생명보다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며 속도전을 벌이는 데 골몰해왔다는 것. 문 시인은 “최근 끔찍한 범죄 등이 빈발하는 건 이런 가치관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우리가 가진 돈과 에너지에 걸맞게 문화도 발전시켜야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중매체를 보면 사회에 괴기한 언어가 횡행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우리 사회에 그만큼 괴기한 생각이나 부당한 가치가 만연해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사회일수록 시인은 사회의 가치관을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태야 합니다. 문학은 자기가 사는 시대의 역사와 핵심을 투시하는 역할을 해야 하니까요. 한 시대의 시인은 그 시대에 부화뇌동해서 꿀을 따먹는 존재가 돼서는 안 됩니다. 불편하고 상처를 입더라도 그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을 직시하고 꿰뚫어야지요.”
문 시인은 최근 젊은 시인들의 시풍에 대해 “다양하고 발랄한 시가 많이 나오는 건 좋지만 자신의 운명을 거는 절실한 태도와 진정성이 부족하다”며 “형식만 새롭게 하거나 즉흥적인 감각을 남발하기보다는 심장에서 뿜어져나오는 언어로 시를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시인은 지난 7~1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국제시(詩)페스티벌에 한국 대표로 초청돼 다녀왔다. 20개국 35명의 시인 앞에서 자신의 시 ‘꽃의 선언’을 낭송했다. 한국문학번역원이 칠레에서 연 ‘한국 문학의 밤’ 행사에도 참석해 자신의 시 ‘가을우체국’ 등을 들려줬다. 다음달에는 러시아에서 열리는 시낭송 행사에 참석한다. 문 시인은 “한국 시에 대한 현지인의 반응이 열광적이었다”며 “한국 문학이 당당히 세계 문학 속에서 어깨를 겨루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꽃은 이 순간 최선을 다해 아낌없이 활짝 피어있는 존재입니다. 꽃처럼 사람도 지금 이 순간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는 걸 시를 통해 말해왔어요. 꽃은 곧 시들기 때문에 피어있는 그 순간이 더 아름답습니다. 사람의 생명도 마찬가지죠.”
이번 시선집에 담긴 시들은 “이 순간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라”는 일관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시집을 읽다 보면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로 유명해진 서양 격언 ‘카르페 디엠(carpe diem: 현재를 즐겨라)’을 떠올리게 된다. 표제작인 ‘지금 장미를 따라’는 문 시인이 멕시코 여성 화가 프리다 칼로의 생가를 방문한 뒤 쓴 시다. 문 시인은 그의 집에서 “아무것도 없었다/ 사랑도 광기도 혁명도/ 무엇으로 쓸어야 이리 없는 것인지/ 빈 뜰인지”라며 황량함을 느낀다. 그 황량함은 시간이 지나면 모든 것은 소멸된다는 교훈과 함께 “시간이 있을 때 장미를 따라/ 지금을 즐겨라”라는 메시지를 준다.
“시를 통해 생명의 근원을 노래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죽음과 삶 등은 얼핏 대립되는 듯하지만 모두 생명의 핵심을 구성하는 존재거든요. 어느 정도 불교적인 철학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그가 보기에 우리 사회는 이런 생명의 소중함을 점점 잊고 있다. 그동안 생명보다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며 속도전을 벌이는 데 골몰해왔다는 것. 문 시인은 “최근 끔찍한 범죄 등이 빈발하는 건 이런 가치관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이라며 “우리가 가진 돈과 에너지에 걸맞게 문화도 발전시켜야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중매체를 보면 사회에 괴기한 언어가 횡행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데 우리 사회에 그만큼 괴기한 생각이나 부당한 가치가 만연해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사회일수록 시인은 사회의 가치관을 바로잡는 데 힘을 보태야 합니다. 문학은 자기가 사는 시대의 역사와 핵심을 투시하는 역할을 해야 하니까요. 한 시대의 시인은 그 시대에 부화뇌동해서 꿀을 따먹는 존재가 돼서는 안 됩니다. 불편하고 상처를 입더라도 그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의 핵심을 직시하고 꿰뚫어야지요.”
문 시인은 최근 젊은 시인들의 시풍에 대해 “다양하고 발랄한 시가 많이 나오는 건 좋지만 자신의 운명을 거는 절실한 태도와 진정성이 부족하다”며 “형식만 새롭게 하거나 즉흥적인 감각을 남발하기보다는 심장에서 뿜어져나오는 언어로 시를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시인은 지난 7~11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국제시(詩)페스티벌에 한국 대표로 초청돼 다녀왔다. 20개국 35명의 시인 앞에서 자신의 시 ‘꽃의 선언’을 낭송했다. 한국문학번역원이 칠레에서 연 ‘한국 문학의 밤’ 행사에도 참석해 자신의 시 ‘가을우체국’ 등을 들려줬다. 다음달에는 러시아에서 열리는 시낭송 행사에 참석한다. 문 시인은 “한국 시에 대한 현지인의 반응이 열광적이었다”며 “한국 문학이 당당히 세계 문학 속에서 어깨를 겨루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