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훈 "증세 앞서 지출 구조조정" vs 김성식 "법인세 실효세율 높여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대 국회 정책 맞수
새누리당 이혜훈 - 국민의당 김성식
동지에서 라이벌로
한나라당서 함께 한 경제통
20대 국회서 나란히 여의도 복귀
구조조정 방식도 이견
이혜훈 "정치권이 개입하면 안돼"
김성식 "사회적 합의 이뤄 고통 분담"
새누리당 이혜훈 - 국민의당 김성식
동지에서 라이벌로
한나라당서 함께 한 경제통
20대 국회서 나란히 여의도 복귀
구조조정 방식도 이견
이혜훈 "정치권이 개입하면 안돼"
김성식 "사회적 합의 이뤄 고통 분담"
이혜훈 새누리당 당선자와 김성식 국민의당 당선자는 20대 국회의 대표적인 경제통으로 꼽힌다. 서울대 경제학과 동문인 두 사람은 18대 국회에서 새누리당의 전신인 한나라당 소속으로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함께 활동했다. 19대 국회 입성에 실패한 두 사람은 20대 총선에서 나란히 당선돼 다시 만나게 됐다.
달라진 점은 김 당선자가 국민의당으로 옮겨가 이제 동지가 아니라 맞수가 됐다는 것이다. 기재위 활동을 희망하고 있는 두 당선자는 증세, 기업 구조조정 등 경제 현안에 대해 시각차를 드러내 불꽃 튀는 정책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이 당선자는 2일 “증세에 찬성하지 않는다”며 “지출 구조조정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복지 지출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가고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며 “고소득층 노인에게 지하철 요금 무료 혜택을 주기 위해 서민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정부 지출 중 20조원 정도는 불필요한 곳으로 새고 있다”며 “이런 것부터 점검하고 나서 증세 얘기를 꺼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명박 정부 때 이뤄진 법인세 감세에 대해선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 당선자는 “법인세를 낮춘다고 투자가 늘어나지 않는다”며 “법인세를 감면해 줬더니 기업들이 미래 산업에 투자하지 않고 부동산에 투자하고 사내 유보금만 늘렸다”고 비판했다
김 당선자는 “삼성전자가 중소기업보다 오히려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다”며 증세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법인세 실효세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김 당선자는 18대 국회의원 시절에도 이명박 정부의 법인세 감세에 반대하는 등 정치권의 대표적인 증세론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나면서 세원이 투명해져 세수가 경제성장률 이상으로 많이 증가하던 때가 있었다”며 “하지만 이제 경제가 성장해도 세수가 그만큼 늘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기업 구조조정 방식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였다. 이 당선자는 “구조조정은 채권은행 중심으로 시장원리에 따라 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개입하지 않아야 구조조정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조정에 앞서 실업대책 등 사회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서도 “이미 제도화된 실업대책이 있다”며 “대책이 100% 마련돼야 구조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억지”라고 반박했다.
반면 김 당선자는 “여·야·정 협의체에서 논의해 사회적 합의를 이뤄야 구조조정의 고통을 분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구조조정을 위해 추진하는 한국은행의 산업은행 출자(한국형 양적 완화)에 대해서는 “산은은 평소 구조조정을 하지 않다가 문제가 생기면 정부나 한은에 손을 벌린다”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정부 경제정책에 대해선 두 당선자 모두 비판적이었다. 이 당선자는 “부동산 대출을 늘리는 등 시중에 돈을 풀어 내수를 회복시키겠다는 정책은 중단하고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김 당선자는 “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단기적인 경기부양책만 썼다”며 “경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종필/김기만 기자 jp@hankyung.com
달라진 점은 김 당선자가 국민의당으로 옮겨가 이제 동지가 아니라 맞수가 됐다는 것이다. 기재위 활동을 희망하고 있는 두 당선자는 증세, 기업 구조조정 등 경제 현안에 대해 시각차를 드러내 불꽃 튀는 정책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이 당선자는 2일 “증세에 찬성하지 않는다”며 “지출 구조조정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복지 지출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가고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며 “고소득층 노인에게 지하철 요금 무료 혜택을 주기 위해 서민들이 세금을 더 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정부 지출 중 20조원 정도는 불필요한 곳으로 새고 있다”며 “이런 것부터 점검하고 나서 증세 얘기를 꺼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명박 정부 때 이뤄진 법인세 감세에 대해선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 당선자는 “법인세를 낮춘다고 투자가 늘어나지 않는다”며 “법인세를 감면해 줬더니 기업들이 미래 산업에 투자하지 않고 부동산에 투자하고 사내 유보금만 늘렸다”고 비판했다
김 당선자는 “삼성전자가 중소기업보다 오히려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다”며 증세 필요성을 제기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법인세 실효세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김 당선자는 18대 국회의원 시절에도 이명박 정부의 법인세 감세에 반대하는 등 정치권의 대표적인 증세론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나면서 세원이 투명해져 세수가 경제성장률 이상으로 많이 증가하던 때가 있었다”며 “하지만 이제 경제가 성장해도 세수가 그만큼 늘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기업 구조조정 방식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였다. 이 당선자는 “구조조정은 채권은행 중심으로 시장원리에 따라 해야 한다”며 “정치권이 개입하지 않아야 구조조정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조정에 앞서 실업대책 등 사회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서도 “이미 제도화된 실업대책이 있다”며 “대책이 100% 마련돼야 구조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억지”라고 반박했다.
반면 김 당선자는 “여·야·정 협의체에서 논의해 사회적 합의를 이뤄야 구조조정의 고통을 분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구조조정을 위해 추진하는 한국은행의 산업은행 출자(한국형 양적 완화)에 대해서는 “산은은 평소 구조조정을 하지 않다가 문제가 생기면 정부나 한은에 손을 벌린다”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정부 경제정책에 대해선 두 당선자 모두 비판적이었다. 이 당선자는 “부동산 대출을 늘리는 등 시중에 돈을 풀어 내수를 회복시키겠다는 정책은 중단하고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김 당선자는 “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단기적인 경기부양책만 썼다”며 “경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종필/김기만 기자 j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