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대책 발표,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도 건의 예정

울산시는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해 1천650억원의 추경예산을 긴급 편성한다.

또 위기 해결때까지 '전담 지원단'을 구성해 운영하는 등 '조선산업 위기대응 10대 종합지원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울산시는 2일 시청에서 기자 브리핑을 열고 "조선업의 불황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이 같은 대책을 내놨다.

10대 종합지원대책은 ▲ 긴급재정 운용을 통한 경제활성화 지원 ▲ 조선업종 사내 협력업체 경영안정자금 지원 확대 ▲조선 관련 중소기업의 지방세 징수유예 및 세무조사 연기 ▲ 이화산단 부담금 조기 지급 ▲ 전직과 재취업 및 창업지원 강화 ▲ 조선 기자재 기업 국내외 마케팅 지원 확대 ▲ 조선해양분야 기술혁신 인프라 조기 구축 등이다.

시는 우선 긴급재정 운용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위해 7월 1천650억원 규모의 긴급 추경 예산을 편성한다.

추경 예산으로 일자리 창출과 조선해양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또 이 예산으로 공공 근로, 기간제 근로 등 한시적 긴급 일자리를 확대하고, 자영업자 등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을 한다.

현대중공업이 있는 동구에는 하반기 지급 예정인 조정교부금(93억원)을 이달 중 전액 앞당겨 교부한다.

구·군에 지급하는 특별조정교부금(48억원)도 동구에 지원한다.

조선업종 사내 협력업체 경영안정자금은 이달 중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지원한도는 업체당 1억원에서 3억원 각각 확대한다.

조선 관련 중소기업 중 경영 위기에 처한 곳은 지방세 징수를 유예하고, 세무조사도 늦춰준다.

현대중공업에서 조성 중인 이화일반산업단지의 울산시 부담금 90억원을 조기에 지급해 공사를 조속히 마무리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화산단은 조선 관련 사업 용지를 확충하기 위해 현대중공업과 울산시가 1천20억원을 투입해 69만7천㎡ 규모로 올해 말까지 조성한다.

울산중장년일자리센터, 내일설계지원센터 등 기존 취업지원 시설의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기능을 강화해 전직과 재취업, 창업을 돕는다.

이밖에 조선 기자재 기업의 국제 인증과 벤더(vendor, 협력사) 등록을 지원하고 구매상담회와 해외 바이어 초청 등을 통해 마케팅을 알선하기로 했다.

ICT(정보통신기술) 융합 조선해양 Industry 4.0S, 조선해양 도장·표면처리센터 구축, 조선해양기자재 장수명(長壽命) 기술지원센터 등 조선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도록 노력한다.

중앙부처 협조과제로 ▲ 특별고용지원업종 및 고용위기지역 지정 ▲ 울산 외국인력 지원센터 설치 ▲ 동구 퇴직자지원센터 건립 특별교부세 지원 등을 선정하고 해당 기관에 적극적으로 건의하기로 했다.

오규택 경제부시장을 단장으로 한 '울산시 조선산업 위기대책 지원단'을 구성해 지원대책을 전담해 관리한다.

한편, 김기현 울산시장은 지난달 25일 현대중공업 사내협력회사 대표들과의 간담회를 시작으로, 26일 권오갑 사장 등 경영진과 28일 백형록 위원장 등 노조 간부들과 만나 현장의 어려움을 듣고 시 차원의 협조 사항을 논의했다.

29일에는 현대중공업 부품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어 불황 극복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김 시장은 "근로자, 기업, 시민, 정부가 결연한 의지로 모든 역량을 집중해 위기에 빠진 조선산업의 경쟁력 회복에 동참해 달라"고 호소했다.

(울산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leey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