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집계한 전국 100세 이상 노인 인구는 올해 3월 기준 1만6000여명에 달한다. 10년 전인 2005년 961명에 비해 빠른 속도로 100세 인구가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꿈일 것 같았던 100세 시대가 온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60세 이전에 소득이 단절된다. 100세 시대를 산다고 가정하면 40년의 여생을 소득 없이 살아야 하는 셈이다. 2015년을 기준으로 한국 노인 빈곤율은 49.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1위다. 이는 OECD 평균(12.6%)에 비해 4배나 높은 수치로 60대 노인 절반이 빈곤상태에 처해 있다는 의미다. 철저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100세 장수 시대는 축복이 아니라 재앙이 될 수 있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지금, 노년에 대한 준비가 차근차근 이뤄지고 있는지 점검해볼 때다.

가장 보편적인 노후 준비 방법으로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등 공적 연금이 있다. 이는 여타 금융 준비에 비해 좋은 조건의 연금액을 받을 수 있어 가장 기대되는 노후준비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공적 연금은 적자운영을 겪고 있으며, 연금지급 시기가 늦어지고 지급액도 적어질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자산인 부동산도 또 다른 방안이다. 하지만 소유 건물에 공실이 생기거나 임대료를 제대로 받을 수 없다면 든든한 자산이 아니라 부담이 될 수 있다. 가진 자산의 전부가 주택이라면 주택연금을 고려해볼 만하다.

다음은 개인연금, 예·적금, 주식과 같은 금융자산으로 준비하는 것이다. 금융자산 중에선 개인연금이 그 특성상 가장 유효하고 안정적인 노후 준비로 평가받는다. 생을 마감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꼬박꼬박 생활비를 만들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생활이 가능하다. 개인연금을 통한 노후준비의 핵심은 최저금리가 보장되는 금리형과 원금을 보장해주는 펀드형 변액연금 등 투자성향과 자산 상황에 맞게 연금자산을 높이는 데 있다.

노후 의료비 준비도 빼놓을 수 없다. 전 생애에 걸쳐 의료비 지출은 60세 이후에 집중된다. 수술, 입원 등 잦은 의료비뿐만 아니라 암, 뇌졸중 등 중증질환의 진단, 치매, 중풍 등으로 장기 간병이 필요하게 되면 준비된 노후 자산은 고스란히 의료비로 지출되고 추가부담은 자녀들의 몫이 될 것이다. 자산을 지킨다는 의미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준비다.

노후소득대체율이 최소 70%는 돼야 안락한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다고 한다. 앞서 살펴봤듯이 국민연금, 부동산, 금융자산 등 어느 정도의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들을 다층으로 구성해 각각이 지닌 리스크를 서로 상쇄해간다면 안정적인 노후 생활에 한층 가까워질 것이다.

최육식 < 푸르덴셜생명 시니어 컨설팅 L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