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 총 영업익 10% 증가…ARPU도 '선방'
SKT 부진은 M&A 노린 '전략?'

올해 1분기 성적표를 받아본 통신 3사의 희비가 엇갈렸다.

KT와 LG유플러스 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고, SK텔레콤 실적은 기대에 못 미쳤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통신 3사의 1분기 영업이익은 총 9천579억원으로 작년 1분기의 8천710억원에 비해 10.0% 증가했다.

총 매출액도 12조4천563억원으로 2.1% 늘었다.

통신사들은 작년부터 마케팅비 절감 등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을 강화해왔다.

통신요금 20% 할인 제도를 선택하는 무선 가입자가 늘었지만, 전체 매출을 후퇴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통신 3사의 1분기 무선 가입자 1인당 평균 매출(ARPU)도 평균 3만6천133원으로 작년 동기의 3만5천999원보다 올랐다.

데이터 사용량 증가로 고가 요금제 가입자 비중이 높아진 덕분이다.

통신사별 실적은 다소 엇갈렸다.

KT는 매출액이 5조5천150억원으로 2.2%, 영업이익이 3천851억원으로 22.8% 각각 늘었다.

LG유플러스도 매출액이 2조7천128억원으로 6.1%, 영업이익이 1천706억원으로 10.3% 각각 증가했다.

반면 SK텔레콤은 매출액이 4조2천285억원으로 0.3%, 영업이익이 4천21억원으로 0.1% 줄었다.

감소폭이 작긴 하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반 감소한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SK텔레콤은 자회사 SK플래닛의 대규모 전자상거래(E커머스) 투자와 마케팅을 실적 부진을 원인으로 꼽았다.

중장기적으로 사업을 다각화하기 위해 단기 실적을 포기했다는 얘기다.

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대한 정부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SK텔레콤으로서는 투자 확대 방침을 강조하고, 이른바 '사업 변신(Transformation)'의 의지를 드러내는 영리한 전략일 수 있다.

SK텔레콤은 올해 4분기는 돼야 실적을 반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통신 3사가 지난 1분기 인수·합병 이슈로 서로 충돌하는 와중에도 나름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며 "실적 면에서 2∼4분기에도 비슷한 흐름을 지속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han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