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들 희망부서 받아보니…'국제금융국 뜨고 조정국 지고'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과장들은 지난달 사무관 정기 인사 때 믿기지 않는 소식을 들었다. 인사 대상 사무관들이 희망 국(局)을 3순위까지 적어냈는데 정책조정국을 지원한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는 것이다. 정책조정국 소속 A과장은 “인기가 없는 ‘음지’라는 것은 알고 있었는데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고 했다. 미래경제전략국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2순위로 적어낸 사무관 한 명이 고작이었다. 미래경제전략국 소속 B과장은 “(지원자가 부족해) 일부 사무관은 지정해서 ‘모셔왔고’ 나머지는 수습 사무관 네 명으로 충원했다”고 말했다.

기재부에서 정책조정국과 미래경제전략국은 경제정책국과 함께 ‘정책 3국’으로 불린다. 범정부 차원의 정책 조율을 담당(정책조정국)하거나 중·장기 경제정책을 기획(미래경제전략국)하기 때문에 자부심도 강하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석준 국무조정실장, 최상목 기재부 1차관 등 소위 ‘잘나간다’는 기재부 출신 현직 관료가 모두 정책조정국을 거쳤다.

기재부 고위 관료들은 정책 3국에 대해 “경제정책의 큰 그림을 그리는 기재부의 역할을 감안할 때 후배들이 꼭 경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정책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고 이에 대한 보람을 느끼기에 안성맞춤이란 것이다.

사무관들의 의견은 다르다. 업무 강도는 센 데 비해 전문성을 기르기는 어렵다는 불만이 나온다. C사무관은 “다른 부처의 정책을 꿰뚫고 있어야 하고 다른 부처 직원과 다퉈야 할 때도 많다”며 “야근과 주말근무가 잦아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했다. D사무관은 “정책 파트는 조직에 헌신하는 자리”라며 “세제실 등 전문성을 찾아가는 동기들이 적지 않다”고 전했다.

이 때문에 세제실, 국제금융국 등 이른바 ‘양지’에 속하는 실·국 직원들 사이에서 ‘음지’ 실·국에 있는 직원들에게 인사 가점을 줘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다른 부처도 마찬가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부터 업무 강도가 높은 소비자정책국에서 2년 이상 근무하는 직원에게 인사 가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