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가계와 기업, 정부가 안고 있는 빚을 모두 더한 순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237%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 주장했다. FT는 “자체 계산 결과 지난 3월 중국의 대내외 순부채는 163조위안(약 2경8760조원)에 달했다”며 “중국이 ‘미국식 금융위기’ 또는 ‘일본식 장기침체’에 빠져들 것이란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엔 모두가 동의하는 부채비율이 없다. 불분명한 기준과 부실한 ‘그림자 금융(비제도권 금융)’ 등으로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탓이다. 하지만 중국의 부채비율이 위험 수준이라는 것엔 많은 전문가가 동의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작년 9월 기준 중국의 순부채가 GDP 대비 249%로 유로존(257%), 미국(244%)과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2014년 기준 중국 부채비율을 282%로 추산했고, 로드니 존슨 위그램캐피털 창업자는 작년 말 기준으로 280%라고 했다.

FT는 “더욱 걱정되는 것은 증가 속도”라며 “2007년 말 중국 부채 수준은 148%였다”고 설명했다. 금융위기 이후 대부분 국가에서 부채비율이 늘었지만 신흥국은 BIS 기준 평균 175%에 머물러 있다.

되레 빚이 늘도록 부채질을 하는 것은 중국 정부다. 경착륙을 피하기 위해 대출을 통한 경기부양을 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 1분기에만 6조2000억위안(약 1094조원)의 신규 대출이 이뤄졌다. 작년 평균보다 50% 이상 늘었다. FT는 ‘역대 최고 증가 속도’라고 분석했다.

중국의 부채 위기를 예측하는 전문가도 빠르게 늘고 있다. 의견은 엇갈린다. 중국이 미국식 금융위기에 빠질지, 일본식 장기침체로 발전할지를 두고서다. 조너선 앤더슨 이머징어드바이저스그룹 총재는 “중국 은행들이 2008년의 리먼브러더스, 베어스턴스와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은행들이 고수익을 보장하며 조달한 단기자금으로 대출에 나서 대출이 부실해지면 쉽게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샬렌 추 오토노머스리서치 선임파트너는 “중국은 이미 일본이 갔던 길에 들어섰다”며 “과도한 부채에 허덕이며 성장 둔화와 디플레이션을 겪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