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의 협상학] 김원기 전 국회의장 "정호용 처벌 반대한 여당 설득해 합의 이끌어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커버스토리 - 인터뷰
'13대 국회 야당 원내총무' 김원기 전 국회의장
김윤환 원내총무, 눈물 보였지만
"노태우와 둘 중 선택하라" 요구
'13대 국회 야당 원내총무' 김원기 전 국회의장
김윤환 원내총무, 눈물 보였지만
"노태우와 둘 중 선택하라" 요구
김원기 전 국회의장(사진)은 15일 “한국 의회 민주주의 역사에서 대화와 타협의 정치 문화가 처음 자리잡은 것이 여소야대(與小野大)이던 13대 국회였다”며 “20대 국회도 정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의장은 13대 국회 당시 야당이던 평화민주당 원내총무로서 여야 협상에 나섰다. 13대 국회는 1988년 4·26 총선에서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전체 299석 중 125석을 얻어 과반 확보에 실패하고, 평민당(70석) 통일민주당(59석) 신민주공화당(35석) 등 3개 야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한 4당 체제의 여소야대 국회였다.
김 전 의장은 “13대 국회에선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산적한 문제가 많았다”며 “광주 민주화운동 희생자 보상과 책임자 처벌, 제5공화국 비리 진상 규명 등 권위주의 시대의 잔재를 청산해야 하는 시기였다”고 말했다. 그는 “4당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문제를 풀기 위해 밤새 토론하고 협상했다”며 “여소야대였지만 대화를 통해 가장 많은 법안을 처리하고 가장 많은 문제를 해결한 국회였다”고 회고했다. 5공 비리 청문회 개최와 전두환 전 대통령 증인 출석, 언론 통폐합 관련 책임자 처벌 등이 여야 협상의 결과였다.
김 전 의장은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책임자 처벌을 놓고 김윤환 당시 민정당 원내총무와 벌인 협상 뒷얘기를 했다. 김 원내총무가 자신의 친구인 정호용 전 특전사 사령관은 책임을 피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눈물까지 보였다는 것이다. 김 전 의장은 “시민 학살 책임이 있는 사람을 그냥 두고는 노태우 정권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으니 노태우와 정호용 중 한 명을 선택하라고 요구해 정 전 사령관을 공직에서 사퇴시키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의장은 “여소야대에서 국정을 원만하게 운영하려면 박근혜 대통령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만이 옳다는 생각에 빠져 야당은 물론 국민과도 소통하지 않으려 한 것이 여소야대 국회를 불러왔다”며 “이런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정치가 큰 난국에 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당에 대해선 “13대 국회는 여소야대라고 해서 수적 우위로 밀어붙이지 않았고 여당 입장을 배려했다”며 대화와 타협의 자세를 잃지 말 것을 당부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
김 전 의장은 13대 국회 당시 야당이던 평화민주당 원내총무로서 여야 협상에 나섰다. 13대 국회는 1988년 4·26 총선에서 여당인 민주정의당이 전체 299석 중 125석을 얻어 과반 확보에 실패하고, 평민당(70석) 통일민주당(59석) 신민주공화당(35석) 등 3개 야당이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한 4당 체제의 여소야대 국회였다.
김 전 의장은 “13대 국회에선 지금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산적한 문제가 많았다”며 “광주 민주화운동 희생자 보상과 책임자 처벌, 제5공화국 비리 진상 규명 등 권위주의 시대의 잔재를 청산해야 하는 시기였다”고 말했다. 그는 “4당의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문제를 풀기 위해 밤새 토론하고 협상했다”며 “여소야대였지만 대화를 통해 가장 많은 법안을 처리하고 가장 많은 문제를 해결한 국회였다”고 회고했다. 5공 비리 청문회 개최와 전두환 전 대통령 증인 출석, 언론 통폐합 관련 책임자 처벌 등이 여야 협상의 결과였다.
김 전 의장은 광주민주화운동 진압 책임자 처벌을 놓고 김윤환 당시 민정당 원내총무와 벌인 협상 뒷얘기를 했다. 김 원내총무가 자신의 친구인 정호용 전 특전사 사령관은 책임을 피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눈물까지 보였다는 것이다. 김 전 의장은 “시민 학살 책임이 있는 사람을 그냥 두고는 노태우 정권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갈 수 없으니 노태우와 정호용 중 한 명을 선택하라고 요구해 정 전 사령관을 공직에서 사퇴시키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의장은 “여소야대에서 국정을 원만하게 운영하려면 박근혜 대통령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만이 옳다는 생각에 빠져 야당은 물론 국민과도 소통하지 않으려 한 것이 여소야대 국회를 불러왔다”며 “이런 태도를 바꾸지 않으면 정치가 큰 난국에 빠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야당에 대해선 “13대 국회는 여소야대라고 해서 수적 우위로 밀어붙이지 않았고 여당 입장을 배려했다”며 대화와 타협의 자세를 잃지 말 것을 당부했다.
유승호 기자 ush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