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영섭 중소기업청장 "R&D 전문기업 육성…중소기업에 기술력 제공할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뷰
독일식 기술전문기업 벤치마킹…고급인력 갖춘 R&D 기업 조성
중소기업 소재·설계 등 기술 지원
기업간 경쟁서 생태계 경쟁으로 한국 산업 패러다임 바꿀 것
독일식 기술전문기업 벤치마킹…고급인력 갖춘 R&D 기업 조성
중소기업 소재·설계 등 기술 지원
기업간 경쟁서 생태계 경쟁으로 한국 산업 패러다임 바꿀 것
주영섭 중소기업청장은 2007년 자동차 부품업체 현대오토넷 사장으로 있었다. 당시 벤츠 등 독일 자동차 회사에 부품을 공급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테스트조차 받지 못할 정도로 벽이 높았다. 방법을 찾던 끝에 독일에 ‘기술전문기업(ESP: engineering service provider)’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는 설계·소재·디자인 등 분야별 기술만 전문으로 제공하는 기술전문기업과 팀을 꾸려 독일 기업이 원하는 제품을 개발했다. 독일의 ‘자동차 부품 생태계’ 속으로 뛰어든 것이다. 현대오토넷은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벤츠에 오디오, 전자제어장치(ECU) 등을 공급했다.
◆“中企 기술지원…시장진입 돕겠다”
주 청장은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연구개발(R&D)만 전문으로 하는 기술전문기업을 활성화하고 대학출연기관과 연계시켜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독일에는 완성차 업체 인근에 기술전문기업 수천 개가 있다고 주 청장은 전했다. 부품 회사들은 기초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들의 도움을 받아 ‘자동차 생태계’에 진입할 수 있다. 한국에도 이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 는 것이다. “앞으로 경쟁은 기업 간 경쟁에서 생태계 경쟁으로 바뀔 것”이란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중소기업에 좋은 인재가 잘 가지 않아 연구개발비를 지원해도 제대로 연구할 사람이 없다”며 “고급 두뇌집단이 모여 R&D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세우고 이들이 중소기업 R&D를 구조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학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계획이다. 그는 “서울대에만 공대 교수가 320여명에 달하고 그 밑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는 학생이 3000여명에 이른다”며 “전국의 공대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참여한다면 어마어마한 R&D 인력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 청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업에 기술을 제공하는 게 연구기관의 ‘본연의 업무’가 된다면 기업에 ‘기술이전’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 평가해 연구개발비 지원”
기존 R&D 사업평가에 대해선 그는 한마디로 “비전문가들이 평가하는 시스템”이라고 지적했다. 작은 이해관계라도 있으면 평가에서 제외하는 바람에 평가위원회에 진정성있는 전문가가 설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같이 좁은 나라에 이해관계가 안 걸린 사람이 몇이나 되겠나. 이런 사람은 모두 배제하고 비전문가들이 R&D 예산을 배분하니 아무리 돈을 쏟아부어도 제대로 된 성과가 안 나온다”고 진단했다.
평가시스템이 이렇게 된 데 대해 주 청장은 “감사원 감사를 걱정해 정책의 실효성은 생각지 않고 ‘책잡힐 짓 안 했다’고 만족하는 것은 공무원이 취할 태도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진짜 전문가를 제값을 주고 평가위원으로 앉히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중소기업만 참여하는 조달시장도 조달청을 비롯한 관련기관과 협력해 개혁해야 할 대상이라고 주 청장은 지적했다. 그는 “조달시장만 공략하면 먹고살 만하다고 생각하는 기업인이 있다면 생각을 바꿔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조달시장은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게 변화시키겠다”고 밝혔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지 않고 내수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에는 불이익을 주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외 매출이 일정 비율을 넘는 업체에만 공공입찰 참여 기회를 주는 방안 등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서비스에 치중된 창업 걱정된다”
최근 불고 있는 창업 열풍에 대해선 “배달의민족 같은 모바일 앱이 성공하면 비슷한 앱이 생긴다”며 “특허, 노하우 등을 보유한 사람들이 기술 창업에 나서야 창업의 질이 좋아진다”고 말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쟁을 하는 품목은 제한 없이 사업하게 해줘야 한다”며 “동네 빵집과 같이 지역화된 사업은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준/안재광 기자 junyk@hankyung.com
주 청장은 1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연구개발(R&D)만 전문으로 하는 기술전문기업을 활성화하고 대학출연기관과 연계시켜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독일에는 완성차 업체 인근에 기술전문기업 수천 개가 있다고 주 청장은 전했다. 부품 회사들은 기초 기술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이들의 도움을 받아 ‘자동차 생태계’에 진입할 수 있다. 한국에도 이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 는 것이다. “앞으로 경쟁은 기업 간 경쟁에서 생태계 경쟁으로 바뀔 것”이란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중소기업에 좋은 인재가 잘 가지 않아 연구개발비를 지원해도 제대로 연구할 사람이 없다”며 “고급 두뇌집단이 모여 R&D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을 세우고 이들이 중소기업 R&D를 구조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학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계획이다. 그는 “서울대에만 공대 교수가 320여명에 달하고 그 밑에서 석·박사 과정을 밟는 학생이 3000여명에 이른다”며 “전국의 공대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참여한다면 어마어마한 R&D 인력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 청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도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업에 기술을 제공하는 게 연구기관의 ‘본연의 업무’가 된다면 기업에 ‘기술이전’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 평가해 연구개발비 지원”
기존 R&D 사업평가에 대해선 그는 한마디로 “비전문가들이 평가하는 시스템”이라고 지적했다. 작은 이해관계라도 있으면 평가에서 제외하는 바람에 평가위원회에 진정성있는 전문가가 설 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같이 좁은 나라에 이해관계가 안 걸린 사람이 몇이나 되겠나. 이런 사람은 모두 배제하고 비전문가들이 R&D 예산을 배분하니 아무리 돈을 쏟아부어도 제대로 된 성과가 안 나온다”고 진단했다.
평가시스템이 이렇게 된 데 대해 주 청장은 “감사원 감사를 걱정해 정책의 실효성은 생각지 않고 ‘책잡힐 짓 안 했다’고 만족하는 것은 공무원이 취할 태도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진짜 전문가를 제값을 주고 평가위원으로 앉히고,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중소기업만 참여하는 조달시장도 조달청을 비롯한 관련기관과 협력해 개혁해야 할 대상이라고 주 청장은 지적했다. 그는 “조달시장만 공략하면 먹고살 만하다고 생각하는 기업인이 있다면 생각을 바꿔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조달시장은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게 변화시키겠다”고 밝혔다.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지 않고 내수만 전문으로 하는 기업에는 불이익을 주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외 매출이 일정 비율을 넘는 업체에만 공공입찰 참여 기회를 주는 방안 등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서비스에 치중된 창업 걱정된다”
최근 불고 있는 창업 열풍에 대해선 “배달의민족 같은 모바일 앱이 성공하면 비슷한 앱이 생긴다”며 “특허, 노하우 등을 보유한 사람들이 기술 창업에 나서야 창업의 질이 좋아진다”고 말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쟁을 하는 품목은 제한 없이 사업하게 해줘야 한다”며 “동네 빵집과 같이 지역화된 사업은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용준/안재광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