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29일 당무위원회의에서 선거와 관련한 당무위 권한을 비상대책위원회로 위임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공천에서 김종인 비대위 대표의 영향력이 더욱 강해진 것이다.

김 대표는 비례대표 선발 과정에서 청년, 노동, 당직자, 취약지역 등 4개 분야 2명씩 8명을 제외한 나머지 비례대표 후보 추천 과정에서 원하는 인물을 넣을 수 있게 됐다. 김 대표가 그동안 시민사회, 운동권보다는 전문가 중심의 인적 쇄신을 강조해 왔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중도 성향 인사들이 비례대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대표 체제가 공고해졌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김 대표는 현역 평가 하위 20% 컷오프(공천 배제) 의원 중 일부를 구제할 수단을 확보했다. 컷오프 대상자 10명의 명단이 공개된 뒤 당내에서는 당 대표 격인 비대위원장을 지낸 5선의 문희상 의원과 야권 험지인 대구 출마를 준비하던 홍의락 의원이 포함된 사실이 논란거리로 부상했다. 의원들은 당 지도부와 공천관리위원회의 정무적 판단이 부족했다고 비판했지만 김 대표는 관련 규정상 정무적 판단을 할 여지가 없었다고 반박하며 규정 변경 필요성을 거론해 왔다.

다만 비례대표 추천이나 컷오프 탈락자 구제, 공천 룰 개정 과정에서 김 대표가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면 논란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강기정 의원 공천 배제를 놓고 총선기획단과 전략공천위가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게 대표적이다.

정장선 총선기획단장은 지난 25일 강 의원 지역구인 광주 북갑을 전략공천 지역으로 선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전략공천위는 28일 근거가 미흡하다는 이유로 보류 판정을 내렸다. 비록 전략공천 선정 거부가 아니라 판단 보류지만 총선기획단의 체면이 구겨진 것은 피할 수 없다.

이 지역 전략공천이 김 대표의 지시에 따라 발표된 것임을 생각하면 전략공천위가 반기를 든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이태훈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