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채권·ELS 수수료, 잠깐 한눈 팔면 '바가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혹시 당신도 봉?…투자상품 수수료의 비밀
비교정보 어두운 소비자, 지금이라도 꼼꼼히 확인해야
장기투자자는 A형 펀드, 상담 필요없으면 E형 유리
ELS는 은행서 사면 불리
비교정보 어두운 소비자, 지금이라도 꼼꼼히 확인해야
장기투자자는 A형 펀드, 상담 필요없으면 E형 유리
ELS는 은행서 사면 불리
직장인 김신영 씨(30)는 지난해 말 펀드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은행에서 전화 한 통을 받았다. 목표 수익률에 도달했으니 다른 펀드로 갈아타라는 내용이었다. 기존 펀드를 환매한 뒤 1000만원을 새로운 펀드로 바꿔 탔더니 통장에 찍힌 금액은 990만원. 은행이 선취 수수료로 10만원을 떼어간 것이다.
◆수익률 뒤에 숨겨진 펀드 수수료
통상 은행 창구 직원들은 펀드를 추천할 때 수익률 중심으로 비교적 소상한 설명을 하지만 보수(수수료) 구조에 대해서는 말을 아낀다. 선취 수수료와 연간 판매보수를 합하면 연 2% 가까운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리기가 껄끄럽기 때문이다. 소비자들도 수수료에 다소 둔감한 편이다.
하지만 이런 수수료는 금융회사별 격차가 의외로 크다. 은행과 증권사 간 판매보수는 어림잡아 연 0.5%포인트 차이가 난다. 은행과 증권사 권역 내에서도 제법 편차가 있다. 이 때문에 어떤 금융회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소비자들이 사후에 체감하는 수익률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판매 창구에서 일일이 알려주지 않더라도 펀드 판매 보수나 수수료를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절대 수치는 작아보일 수 있지만 투자 금액이 많거나 장기간 투자할 경우 펀드 수익률을 크게 갉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펀드라도 이름 맨 뒤에 붙어 있는 알파벳(A, C, D, F, E, S)으로 펀드 클래스(유형)를 나눠 선취 수수료와 각종 보수 등 차감방식이 달라진다. 투자기간과 자금 납입 방식을 고려해 적절한 유형을 골라야 한다. A형은 선취 수수료를 떼고 나중에 투자하는 적립금에 대해서는 보수가 작기 때문에 한꺼번에 자금을 넣는 장기 투자자에게 유리하고, C형은 선취 수수료가 없어 단기 투자나 적립식 펀드에 활용할 만하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이다.
◆회사채, 장내에선 이자 더 챙겨
같은 날 똑같은 채권을 매수하더라도 어디서 사느냐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주식처럼 매일 활발하게 사고팔지 않다 보니 증권사 영업점에서 ‘부르는 게 값’인 경우가 많다.
지난해 12월1일 주요 증권사 영업점(장외시장)은 아시아나항공 회사채(79회) 7억6000만원어치(금융투자협회 집계치)를 팔았다. 기대 수익률은 연 4.98%였다. 하지만 이날 이 채권을 사들인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을 열어봤다면 크게 후회했을 것이다. 장내시장에선 같은 채권이 연 5.29% 수익률에 거래됐기 때문이다. 증권사 수수료만큼의 상대적 손해를 본 것이다.
◆ELS도 판매사별로 제각각
국민 재테크 상품으로 꼽히는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도 수익률을 따지기에 앞서 가입할 금융회사부터 유심히 살펴야 한다. 같은 조건의 상품이라도 판매처별로 연 2~3%포인트 수익률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자 손에 쥘 수 있는 수익률은 증권사보다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ELS가 더 낮다. 직접 ELS를 발행하는 증권사와 달리 상품을 가져와 파는 은행에서는 판매 수수료가 이중으로 붙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권오상 금융감독원 복합금융감독국장은 “상품의 특징, 신용도가 제각각인 만큼 금융회사별로 수수료를 다르게 매기는 것을 나무라긴 어렵다”며 “금융회사와 협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정보를 꼼꼼히 비교해 상품을 고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상미/이태호/송형석 기자 saramin@hankyung.com
통상 은행 창구 직원들은 펀드를 추천할 때 수익률 중심으로 비교적 소상한 설명을 하지만 보수(수수료) 구조에 대해서는 말을 아낀다. 선취 수수료와 연간 판매보수를 합하면 연 2% 가까운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리기가 껄끄럽기 때문이다. 소비자들도 수수료에 다소 둔감한 편이다.
하지만 이런 수수료는 금융회사별 격차가 의외로 크다. 은행과 증권사 간 판매보수는 어림잡아 연 0.5%포인트 차이가 난다. 은행과 증권사 권역 내에서도 제법 편차가 있다. 이 때문에 어떤 금융회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소비자들이 사후에 체감하는 수익률 격차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판매 창구에서 일일이 알려주지 않더라도 펀드 판매 보수나 수수료를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절대 수치는 작아보일 수 있지만 투자 금액이 많거나 장기간 투자할 경우 펀드 수익률을 크게 갉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펀드라도 이름 맨 뒤에 붙어 있는 알파벳(A, C, D, F, E, S)으로 펀드 클래스(유형)를 나눠 선취 수수료와 각종 보수 등 차감방식이 달라진다. 투자기간과 자금 납입 방식을 고려해 적절한 유형을 골라야 한다. A형은 선취 수수료를 떼고 나중에 투자하는 적립금에 대해서는 보수가 작기 때문에 한꺼번에 자금을 넣는 장기 투자자에게 유리하고, C형은 선취 수수료가 없어 단기 투자나 적립식 펀드에 활용할 만하다는 게 전문가들 조언이다.
◆회사채, 장내에선 이자 더 챙겨
같은 날 똑같은 채권을 매수하더라도 어디서 사느냐에 따라 가격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도 주의해야 한다. 주식처럼 매일 활발하게 사고팔지 않다 보니 증권사 영업점에서 ‘부르는 게 값’인 경우가 많다.
지난해 12월1일 주요 증권사 영업점(장외시장)은 아시아나항공 회사채(79회) 7억6000만원어치(금융투자협회 집계치)를 팔았다. 기대 수익률은 연 4.98%였다. 하지만 이날 이 채권을 사들인 개인투자자들이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을 열어봤다면 크게 후회했을 것이다. 장내시장에선 같은 채권이 연 5.29% 수익률에 거래됐기 때문이다. 증권사 수수료만큼의 상대적 손해를 본 것이다.
◆ELS도 판매사별로 제각각
국민 재테크 상품으로 꼽히는 주가연계증권(ELS) 투자자들도 수익률을 따지기에 앞서 가입할 금융회사부터 유심히 살펴야 한다. 같은 조건의 상품이라도 판매처별로 연 2~3%포인트 수익률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자 손에 쥘 수 있는 수익률은 증권사보다는 은행에서 판매하는 ELS가 더 낮다. 직접 ELS를 발행하는 증권사와 달리 상품을 가져와 파는 은행에서는 판매 수수료가 이중으로 붙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권오상 금융감독원 복합금융감독국장은 “상품의 특징, 신용도가 제각각인 만큼 금융회사별로 수수료를 다르게 매기는 것을 나무라긴 어렵다”며 “금융회사와 협회 홈페이지에 공개된 정보를 꼼꼼히 비교해 상품을 고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안상미/이태호/송형석 기자 sara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