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대국민담화.안보와 경제, 두 가지 모두가 위기인 비상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강조하며 각 계의 대승적인 협조를 당부했습니다.대한상의 등 주요 경제단체장들은 긴급간담회를 열어 범국민 서명운동에 나섰고, 손 놓고 있을 수 없는 금융협회 수장들도 동참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은행연합회, 금투협회, 생보협회, 손보협회, 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 수장들은 경제활성화 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촉구하는 서명을 한 뒤 기념촬영에 임했습니다.두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인 경제상황과 청년 실업의 심각성을 감안하면 표류중인 경제활성화 법안의 통과를 촉구하려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습니다.다만 국회 직권상정을 위한 압박을 위해, 경제계와 금융계 등이 ‘범국민’이라는 이름으로 서명운동 이벤트에 `자의 반, 타의 반` 나서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법안이 통과되면 일정부분 국정 운영의 숨통이 트이기는 하겠지만 곧바로 경제가 살아나고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청년희망펀드` 때도 대통령의 언급 이후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들이 연봉을 반납해 청년 고용에 일조하겠다고 나선 바 있습니다.은행권이 너나 할 것 없이 중계방송이라도 하듯, 누가 청년희망펀드에 어느 지점을 통해 가입했고, 어느 유명인이 가입 했고 등 보여주기식 행보에 여념이 없었던 흐름과 궤를 같이 합니다.의도와 취지는 좋지만 청년일자리 창출, 그들의 희망과는 분명 여전히 괴리가 있습니다.정부는 경제활성화를 위해 성장률을 어떻게 높이고 대화와 소통, 세부 정책 플랜을 갖고 노동 개혁, 규제 완화 등에 나서 기업 경영·투자환경을 개선하면 됩니다.경제계는 재화·이윤 창출을, 금융계는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익성과 성장동력 확보하는 등 금융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 청년 일자리 창출과 경제는 자연스레 활성화될 것입니다.금융협회장들의 서명운동에는 서명과 구호만 있을 뿐, 어떻게 동참하고 해결해 나가야 하는 지, 금융업 발전을 통한 경제활성화, 고용창출을 위한 고민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습니다.13일부터 전개된 범국민 서명운동이 어느 범위까지 확산될 지 모르겠지만, 서명운동 등을 통해 직권상정을 압박하는 형태와 방식만 되풀이된다면 급조된 이벤트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울 것입니다.보여주기식 이벤트가 아닌, 시간을 두고 근본적인 해법을 고민하고 시행에 나서는 것이 더욱 시급한 시점입니다.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한국경제TV 핫뉴스ㆍ파워볼 당첨번호, 캘리포니아서 당첨자 나왔다 ‘1조 8000억원’ 잭팟ㆍ이부진-임우재 이혼, “자녀 친권·양육권 엄마에게”…재산 분할은?ㆍ서울대 출신이 개발한 "하루 30분 영어" 화제!ㆍ[카드뉴스] "얼굴도 모르는 당신께 내 돈을 빌려줄게"ㆍ살얼음판 욕실, 1초만에 후끈 `이게 말이돼?`ⓒ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