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세력 중심 합의 물타기에 합의정신 존중론 부상

한일간의 역사적 위안부 문제 타결에 대해 일본내 극우 세력이 반발하는 가운데 '신중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힘을 얻는 양상이다.

이는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와 반성, 책임 통감'을 공언한 만큼 이에 반하는 행위를 할 경우 합의정신이 손상되며 일본 정부의 최대 목표였던 '불가역적 해결'에도 흠집이 갈 수 있다는 점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물론 아직 정부 관계자나 정치권 인사들이 사죄·반성에 반하는 직접적인 언급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산케이신문 등 보수 언론을 중심으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합의 내용을 물타기하는 보도가 나왔다.

특히 지난 29일 밤에는 200여명의 일본 극우 인사들이 도쿄 총리 관저에 몰려가 한일간 위안부 합의를 '매국행위'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를 '매국노'로 부르는 등 강력 반발했다.

이처럼 극우계 인사들을 중심으로 반발 기류가 확산하면서 일본 내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신중한 대응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아사바 유키(淺羽祐樹) 니가타(新潟) 현립대 대학원 국제지역학연구과 교수는 3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의 존엄과 명예가 조금이라도 회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되도록 양측이 각각 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양국 내에서 (위안부 타협안과) 다른 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는 부분도 있지만 정부 차원에서만큼은 결코 나오면 안된다"며 "국내 여론을 잘 이끌어갈 책무는 양국 정부가 져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야마구치 지로(山口二郞) 호세이((法政)대 교수는 트위터에 "일본의 우파가 한국 여성(군위안부 피해자)을 비방·중상하는 것도 불가역적 해결에 반(反)한다"고 지적했다.

야마구치 교수는 "아베 정권이 자민당 우파와 그 배후에 있는 우익의 무지, 편견을 적확하게 비판하며 일본 정부의 공식 견해에 어긋나는 것을 엄단할 수 있느냐가 문제"라고 강조했다.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도 정치인 등 지도층의 '판을 깰 수 있는' 발언에 주의할 것을 촉구했다.

아사히는 한국에 대해서도 여론에 휩쓸려 약속을 휴지로 만드는 일이 있으면 안된다면서도 "일본은 진의를 의심케하는 언동에 주의해야 한다"고, 마이니치는 "양국 정부간 긍정적 움직임이 있어도 일본 정치인이나 언론의 식민지배 정당화, 위안부 비방 등이 양국 관계를 더욱 복잡하게 해 왔다"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최이락 특파원 choina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