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보상네트워크 대표 "日정부, 피해자와 대화했어야"
"한국정부는 日제안 가지고 피해자들 만났어야"


한일 양국 정부가 군위안부 문제 최종 타결에 합의하기까지 피해자들의 견해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은 유감스럽다고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가 지적했다.

일본 시민단체 전후(戰後)보상네트워크의 아리미쓰 겐(有光健) 대표는 28일자로 발표한 담화에서 "가장 아쉬운 점은 일본 정부가 직접 피해자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대화하지 않은 것"이라며 "당사자를 빼놓고 외교 당국자끼리 타결해 합의한 것으로는 '최종 해결'이 되지 않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아리미쓰는 이어 "한국 정부는 일본의 제안을 받은 뒤 당장 결론을 낼 것이 아니라, 몇주간의 유예 기간을 둔 채 피해 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의견을 교환한 뒤 결론을 도출하는 절차를 취했어야 하지 않나"라고 적었다.

아리미쓰는 이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을 통해 천명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사죄 언급이 피해자가 요구하는 사죄에 못미친다고 지적하고 "지난 25년간의 (군위안부 관련) 연구 성과를 진지하게 반영시켰다면 더욱 넓은 공감을 얻는 문언이 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본이 정부 예산을 군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출연키로 한데 대해 "피해자가 일본에 요구해온 것은 '지원'이 아닌 '사죄'와 '배상'"이라고 지적했지만 일본이 전액 정부 돈을 내기로 한데 대해서는 "개선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다만 아리미쓰는 "내용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10억 엔(약 97억 원·일본 정부가 약속한 출연 규모)'이라는 숫자를 강조하고 먼저 내세우는 방법은 '돈뭉치로 해결을 도모한다'는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