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한중일 정상회의 日 개최 계기 양자회담 가능성
향후 日역사도발 여부 및 국내 여론이 단독 방일 및 정상회담 변수
日언론 "3월 美서 한일회담" 관측에 靑 "오보" 선긋기

한일 관계의 최대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28일 양국 외교장관 회담에서 타결됨에 따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내년에 단독 정상회담을 가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일본의 거듭된 역사도발로 과거사 문제가 양국관계 진전을 가로막은 핵심 현안이었던 만큼 위안부 문제 합의를 계기로 얽히고설킨 양국관계의 실타래를 풀 기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일단 지난달 2일 취임 이후 처음으로 아베 총리와 정상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당시 정상회담은 2012년 5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간 회담 이후 3년반만에 열렸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고, 양국 정상은 "조기에 위안부 문제를 타결하기 위한 협의를 가속화" 한다는데 합의했다.

하지만, 당시 양자회담은 한일중 3국 정상회의를 계기로 우리나라를 방문한 아베 총리와 동북아 3국 협력 복원이라는 틀속에서 양자 정상회담을 갖는 형식이었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일종의 '원포인트' 회담으로 성격이 국한됐다.

따라서 위안부 문제 타결을 계기로 양국관계 정상화의 상징적인 수순으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간 정상회담이 내년 상반기에 이뤄지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일단은 내년 5월께 일본에서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때 박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해 자연스레 양자회담을 갖고 양국 현안을 논의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이 또한 한중일 정상회의라는 동북아 정상회의체의 범주 내에서 진행되는 형식이기 때문에 한일 단독 정상회담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향후 관심이 가는 대목은 박 대통령의 단독 방일 또는 아베 총리의 단독 방한에 따른 온전한 양자 정상회담의 성사 가능성이다.

일각에서는 최상의 한일관계를 구축했다고 평가받는 김대중 정부 시절의 한일 '셔틀 외교'가 복원의 가닥을 잡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섣부른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셔틀외교는 한일 두 정상이 현안이 있을 때마다 당일이나 1박2일의 짧은 일정으로 편하게 양국을 방문해 허심탄회하게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로, 양국 관계의 깊이를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관련, 일본 교도통신은 지난 27일 위안부 협상 타결에 앞서 내년 3월31일부터 이틀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 정상회담을 개최, 군위안부 문제의 최종타결을 확인한 뒤 공동문서를 발표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 "오보"라고 선을 그은 바 있고, 향후 한일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에 대해서도 "급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일 정상회담은 급할 것이 전혀 없다"며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한 일본 언론의 보도는 오보이고, 양국 정상회담에서 (최종타결 확인 등) 어떻게 한다는 것도 모두 오보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청와대의 이런 입장에는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한 향후 국내 여론의 평가가 주요 변수인데다 일본측의 과거사 도발이 언제든지 재현될 수 있다는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미국과 국제사회를 의식한 아베 총리의 외교 행보에 비춰볼 때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일본의 진정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따라서, 박 대통령은 위안부 타결 이후 국내 여론, 일본의 진정성 확인 절차 및 아베 총리의 외교 행보 등 여러 요소를 감안해 가면서 신중하게 향후 정상회담 일정을 판단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