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전 대통령, 22일 0시22분 서울대병원서 향년 88세로 서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영삼 전 대통령이 22일 새벽 서거했다. 향년 88세.
서울대병원은 김 전 대통령이 이날 0시22분 서울 연건동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치료를 받던 중 숨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일 몸에서 열이 나 서울대병원에 입원했으며 21일 오후 상태가 악화돼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은 이날 새벽 긴급 브리핑에서 “현재로서 사망에 이른 직접적 원인은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이 겹쳐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래 심장 혈관이 좁아지고 막힌 곳이 있어 과거 수차례 시술을 받았다”며 “이런 패혈증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가 겹쳤을 때 심장이 함께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은 고령인 데다 체력이 많이 떨어져 종종 서울대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왔고 그때마다 며칠씩 입원했다. 이번 입원 전에도 지난 10일 검진 차 병원을 찾아 17일까지 입원한 뒤 퇴원했다. 오 원장은 과거 병력에 대해 “고인께서는 2008년부터 작은 뇌졸중이 있었고 이후 반복적인 뇌졸중과 협심증, 폐렴 등으로 수차례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며 “2013년 4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반신불수를 동반한 중증 뇌졸중과 폐렴으로 입원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래 스탠스 시술도 받았고, 혈관 병이 많았다”며 “뇌졸중도 결국 혈관이 막혀서 생긴 병이며, 지병이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서거 당시 김 전 대통령 옆에는 차남 현철씨 등 가족이 자리해 임종했다고 오 원장은 전했다. 다만 손명순 여사는 곁에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한국 현대정치를 양분해 이끌어왔던 김대중·김영삼으로 상징되는 ‘양김 시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김 전 대통령은 1927년 12월20일 경남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연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장목소학교, 통영중학교,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54년 3대 민의원 선거에 최연소로 당선돼 제 5·6·7·8·9·10·13·14대 국회의원까지 9선 의원을 지냈다.
야권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채 통일민주당 후보로 독자출마한 198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에게 패해 2위로 낙선했다.
하지만 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과의 3당 합당을 통해 탄생한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고 합류, 박철언 전 의원과의 사활을 건 대결 끝에 대선후보를 쟁취했다. 1992년 대선에서 필생의 라이벌 김대중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돼 ‘군정 종식’을 이뤄내며 ‘문민시대’를 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야당 당수 세 차례, 야당 원내총무 다섯 차례를 역임하며 평생의 민주화 동지이자 정치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군사정권에 맞섰다. 양김의 ‘상도동·동교동’은 민주화 세력의 양대 산맥으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40대 기수론’을 내세운 야당 당수로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다 1979년 총재 직무를 강제로 정지당하고 의원직에서도 제명되는 고초를 겪었다.
신군부 정권 시절이던 1980년대 들어서는 23일간의 단식 투쟁, 장기간의 가택연금 등의 모진 정치적 박해와 고난을 겪으면서도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 ‘87년 6월 항쟁’ 주도 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이끌며 군사정권 기반 약화와 직선제 개헌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대도무문’을 좌우명으로 삼았던 김 전 대통령은 평생을 민주화 투쟁과 인권 증진의 외길을 걸으면서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자신의 신조처럼 군사독재 종식과 민주체제 정착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재임 기간 ‘칼국수’로 상징되는 검소함과 청렴함을 표방하면서 하나회 청산과 금융·부동산 실명제 도입, 지방자치제 실시, 전방위적 부패 척결 등을 통해 사회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성과를 냈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임기 중 친인척 비리와 외환 위기에 따른 국가 부도 사태 초래로 임기 초반 누렸던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하며 극과 극을 달린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김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PK(부산·경남)를 지역 기반으로 삼은 민주화 세력을 일컫는 ‘상도동계’의 리더로서 오랫 기간 현실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평생 거르지 않다시피한 새벽 조깅과 영문이니셜 애칭 ‘YS’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김 전 대통령의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 마련됐다. 유족으로는 부인 손명순 여사와 아들 현철 씨가 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서울대병원은 김 전 대통령이 이날 0시22분 서울 연건동 서울대병원 중환자실에서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치료를 받던 중 숨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김 전 대통령은 19일 몸에서 열이 나 서울대병원에 입원했으며 21일 오후 상태가 악화돼 중환자실로 옮겨졌다.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은 이날 새벽 긴급 브리핑에서 “현재로서 사망에 이른 직접적 원인은 패혈증과 급성심부전이 겹쳐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래 심장 혈관이 좁아지고 막힌 곳이 있어 과거 수차례 시술을 받았다”며 “이런 패혈증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가 겹쳤을 때 심장이 함께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은 고령인 데다 체력이 많이 떨어져 종종 서울대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아왔고 그때마다 며칠씩 입원했다. 이번 입원 전에도 지난 10일 검진 차 병원을 찾아 17일까지 입원한 뒤 퇴원했다. 오 원장은 과거 병력에 대해 “고인께서는 2008년부터 작은 뇌졸중이 있었고 이후 반복적인 뇌졸중과 협심증, 폐렴 등으로 수차례 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며 “2013년 4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반신불수를 동반한 중증 뇌졸중과 폐렴으로 입원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래 스탠스 시술도 받았고, 혈관 병이 많았다”며 “뇌졸중도 결국 혈관이 막혀서 생긴 병이며, 지병이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서거 당시 김 전 대통령 옆에는 차남 현철씨 등 가족이 자리해 임종했다고 오 원장은 전했다. 다만 손명순 여사는 곁에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1993년부터 1998년까지 제14대 대통령을 지낸 김 전 대통령의 서거로 한국 현대정치를 양분해 이끌어왔던 김대중·김영삼으로 상징되는 ‘양김 시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김 전 대통령은 1927년 12월20일 경남 거제군 장목면 외포리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연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장목소학교, 통영중학교,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1954년 3대 민의원 선거에 최연소로 당선돼 제 5·6·7·8·9·10·13·14대 국회의원까지 9선 의원을 지냈다.
야권 후보단일화에 실패한 채 통일민주당 후보로 독자출마한 1987년 12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시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에게 패해 2위로 낙선했다.
하지만 민주정의당·신민주공화당과의 3당 합당을 통해 탄생한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호랑이를 잡으러 호랑이 굴에 들어간다’고 합류, 박철언 전 의원과의 사활을 건 대결 끝에 대선후보를 쟁취했다. 1992년 대선에서 필생의 라이벌 김대중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돼 ‘군정 종식’을 이뤄내며 ‘문민시대’를 열었다.
김 전 대통령은 야당 당수 세 차례, 야당 원내총무 다섯 차례를 역임하며 평생의 민주화 동지이자 정치 라이벌이었던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군사정권에 맞섰다. 양김의 ‘상도동·동교동’은 민주화 세력의 양대 산맥으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1970년대 후반에는 ‘40대 기수론’을 내세운 야당 당수로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체제에 정면으로 맞서다 1979년 총재 직무를 강제로 정지당하고 의원직에서도 제명되는 고초를 겪었다.
신군부 정권 시절이던 1980년대 들어서는 23일간의 단식 투쟁, 장기간의 가택연금 등의 모진 정치적 박해와 고난을 겪으면서도 민주화추진협의회 결성, ‘87년 6월 항쟁’ 주도 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을 이끌며 군사정권 기반 약화와 직선제 개헌에 주도적 역할을 했다.
‘대도무문’을 좌우명으로 삼았던 김 전 대통령은 평생을 민주화 투쟁과 인권 증진의 외길을 걸으면서 “닭의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는 자신의 신조처럼 군사독재 종식과 민주체제 정착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재임 기간 ‘칼국수’로 상징되는 검소함과 청렴함을 표방하면서 하나회 청산과 금융·부동산 실명제 도입, 지방자치제 실시, 전방위적 부패 척결 등을 통해 사회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한 단계 끌어올리는 성과를 냈다.
이러한 업적에도 불구하고 임기 중 친인척 비리와 외환 위기에 따른 국가 부도 사태 초래로 임기 초반 누렸던 국민의 절대적 지지를 대부분 상실하며 극과 극을 달린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김 전 대통령은 퇴임 후에도 PK(부산·경남)를 지역 기반으로 삼은 민주화 세력을 일컫는 ‘상도동계’의 리더로서 오랫 기간 현실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평생 거르지 않다시피한 새벽 조깅과 영문이니셜 애칭 ‘YS’는 그의 트레이드마크였다.
김 전 대통령의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 마련됐다. 유족으로는 부인 손명순 여사와 아들 현철 씨가 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