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합병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생각해 본 일도 없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단계적 대안을 마련해야지, 지금 선대 체제가 청산되는 단계까지는 바라지 않는다"며 "(해운업계 구조조정에 대해)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보도자료의 기조와 같다"고 말했다.

국내 해운업계 1·2위 업체인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합병설이 지난달부터 나돌고 있지만 정부 구조조정협의체는 전날 2차 회의에서 "시장 원리에 따른 자율적 구조조정을 추진하되 원양선사는 근본적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만 발표했다.

김 장관은 이날 "양대 선사의 내부적인 정리는 몰라도 큰 틀은 유지했으면 좋겠다는 입장이지만 그럼에도 금융정책이나 경제 정책적 차원에서는 무조건 끝까지 끌어안을 수 없는…그거에 대해서는 좀 더…"라며 정부 내부에서도 계속 논의가 필요한 상황임을 전했다.

해수부는 어쨌든 이들 양대 선사에 대해 '선 자구, 후 지원' 정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김 장관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자구책 마련 등 정리가 끝나면 초대형 선박을 발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우리 선사들이 초대형 선박을 발주하고 치고 나가지 않으면 생존이 걸려 있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새로운 형태의 펀드를 조성해 초대형 선박을 발주하고 펀드가 선박의 소유권을 갖되 국적 선사에 용선해 주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국적 선사들이 선박 발주비용을 부채로 떠안지 않아 금융비용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국산 세계대학평가' 나왔다…고려대, 경영학랭킹 첫 발표] [수입차 리콜 '폭증' 20만대 육박…뭐가 문제길래] ['부드럽고 정숙한 터보' 렉서스 IS200t] [서울 면세점 대전, 두산·신세계 입성…롯데 절반의 성공] ['디젤 스캔들' 폭스바겐 얼마나 싼지 구매상담 받아보니]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