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 "가공육 안전 섭취, 정확한 정보 필요"

세계보건기구(WHO)가 발암물질로 분류한 가공육에 대해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에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 기관과 협의해 가공육 소비 지침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13일 서울 광진구에 있는 델리샵 '어반나이프'에서 소비자단체, 축산·육가공단체 대표들과 육가공품 소비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26일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소시지와 햄 같은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이라고 발표하고서 국내 육가공품 소비가 위축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마련된 자리다.

이문용 한국육가공협회장은 "WHO 발표 직후 급감한 육가공품 매출이 조금씩 회복하고 있지만 오해를 풀지 못하면 육가공산업에 치명적인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천주 한국여성소비자연합 회장은 "음식은 조리법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므로 가공육을 어떻게 조리하면 위험하고, 어떤 음식과 함께 먹으면 영양가가 높아져 상생 효과가 있는지 등을 소비자들이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 회장도 "한국은 가공육 소비량이 외국보다 적어 관계없다고만 얘기할 게 아니라 우리 식탁에 맞는 균형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떤 식품이든 좋은점과 나쁜점이 있는데 육가공품은 어떻게 먹어야 안전한지 정부가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의견에 이동필 장관은 "가공육 섭취와 건강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연구하고 적정한 가공육 소비 지침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데 식약처 등 관계 부처와 의견을 모았다"며 "관계 부처와 협의해 국민 건강을 위해 과학적 사실에 근거한 지침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앞서 식약처는 이달 2일 국민들의 가공육·적색육 소비가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해 가공육과 적색육의 섭취 가이드라인을 내년 하반기께 제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해 식약처와 농식품부를 포함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암센터 등 관계부처와 전문가 자문단이 참여하는 TF(태스크포스)가 이달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TF는 가공육·적색육 소비 동향 등을 분석하고 식생활 실태조사와 가공육 지침 마련 등 정부 대책 추진 협의를 위해 정기·수시로 회의를 열 계획이다.

한편 농식품부에 따르면 육가공업체 상위 5개사 매출은 WHO 발표 직후 첫 주(10월 26∼31일)에는 약 30% 감소했고, 둘째 주(11월 2∼8일)에는 약 26% 줄었다.

대형마트 등의 가공육 매출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시장과 학교급식 등의 가공육 주문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ri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