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구조조정, 시급히 처리할 과제…정부 주도할 필요"
"현 금리 수준…물리적으로 추가 인하는 가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미국 중앙은행(Fed)의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에 따른 국내외 경제여건과 금융시장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소공동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금리인상과 함께 일부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다만 이 총재는 미국 금리인상이 국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경상수지 흑자 지속 등 국내 기초여건이 탄탄하고 금융 부문의 외환건전성도 양호해 부작용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에서다.
또 국내 경제의 경기흐름에 대해선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이전의 회복 추세 수준으로 복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대외 경제여건 상 성장경로 불확실성은 높지만 선진국 경기 회복세가 진전되고 세계 교역량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내수 회복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점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내수의 경우 블랙프라이데이 등 정부 정책이 기여한 부분도 있지만 경제 주체들의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있다"며 "임금 증가로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확대되는 점을 감안하면 민간소비 개선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근 정부가 기업 구조조정에 고삐를 죄고 있는 데 대해선 "필요성이 있다"고 공감했다.
그는 "정부가 국내 상황이 안좋아 긴박하게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다"며 "글로벌 환경이 녹록치 않아 대비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므로 정부가 구조조정을 주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할 경우, 시장금리 상승 움직임이 나타나므로 한계기업·과다 채무 기업에는 분명 어려움이 닥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기업 구조조정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해선 거시경제가 안정될 필요가 있고 한국은행은 적절한 통화정책으로 이에 기여해야 한다"며 "현행 금리 수준이 거시경제 안정에 애로 요인이 되고 있진 않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을 것이라는 의중을 드러냈다. 그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제로금리 가능성은 과하지만 물리적으로 현 금리(1.5%) 수준에서 추가 인하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1월 통화정책회의를 열고 현행 1.5%의 기준금리를 유지했다.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후 다섯 달째 금리동결 기조를 이어간 것이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