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규제 완화가 삼성페이 낳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핀테크 데모데이'…6개 업체 기술 시연
핀테크산업 아직 초보단계…지불결제기능 이외엔 미진
P2P 대출 활성화하는 등 개방적 생태계 조성 시급
핀테크산업 아직 초보단계…지불결제기능 이외엔 미진
P2P 대출 활성화하는 등 개방적 생태계 조성 시급
“공인인증서를 의무 사용토록 한 규제가 완화되지 않았다면 삼성페이는 나오지 못했을 겁니다.”
삼성페이 탄생의 주역인 이인종 삼성전자 부사장은 22일 금융위원회 산하 핀테크지원센터가 연 ‘제5차 핀테크 데모데이’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찰스 해이 주한 영국대사, 에릭 반 데 클레이 영국 레벨39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핀테크 전문가 좌담회와 핀테크 기술 시연 등이 진행됐다. 좌담회 패널로는 이 부사장과 함께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 신성환 금융연구원장, 남주하 서강대 경제학 교수, 박소영 페이게이트 대표(핀테크포럼 의장)가 참석했다.
신 원장은 “핀테크가 금융산업의 축을 흔들 정도로 정체된 금융산업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단순히 지급결제 분야를 넘어 금융 지형을 바꿀 정도로 새로운 핀테크 기업이 나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핀테크산업 육성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아직 맹아 단계라는 지적이 많았다. 또 일반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킬러 서비스’가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위 사장은 “더 편리하고 다양한 핀테크 기술이 빠른 속도로 나올 것”이라면서도 “지불결제 이외 영역은 여전히 미진하다”고 말했다.
핀테크업계에선 정부가 크라우드펀딩이라고도 불리는 P2P대출을 여전히 대부업으로 규정하며 핀테크 영역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서둘러 고쳐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P2P 대출업계 관계자는 “용어만이라도 전자금융으로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가 꾸준히 핀테크 관련 규제를 풀고 있다는 점에는 후한 평가가 많았다.
이 부사장은 “핀테크는 개방성을 중요시하는 정보기술(IT)과 보안 및 안정성이 중요한 금융과의 결합”이라며 “자칫 무분별하게 도입했다간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정책 방향과 속도 둘 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위의 정책은 개방이라는 큰 방향에 맞춰 단계별로 추진되고 있다고 본다”며 “특히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을 풀어주는 등 금융위가 규제 패러다임을 전환한 덕분에 삼성페이 같은 신개념 결제 서비스가 적기에 나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핀테크업계를 대표해 참석한 박 대표는 “은행, 카드 등 금융회사가 좀 더 개방적인 방향으로 핀테크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금융회사의 IT망을 외부에 개방하는 오픈API플랫폼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개인이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이트에 가입해 개인 블로그를 만드는 것과 똑같이 핀테크 회사들도 은행이 열어놓은 소스코드를 활용해 다양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동휘/김일규 기자 donghuip@hankyung.com
삼성페이 탄생의 주역인 이인종 삼성전자 부사장은 22일 금융위원회 산하 핀테크지원센터가 연 ‘제5차 핀테크 데모데이’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찰스 해이 주한 영국대사, 에릭 반 데 클레이 영국 레벨39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핀테크 전문가 좌담회와 핀테크 기술 시연 등이 진행됐다. 좌담회 패널로는 이 부사장과 함께 위성호 신한카드 사장, 신성환 금융연구원장, 남주하 서강대 경제학 교수, 박소영 페이게이트 대표(핀테크포럼 의장)가 참석했다.
신 원장은 “핀테크가 금융산업의 축을 흔들 정도로 정체된 금융산업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며 “단순히 지급결제 분야를 넘어 금융 지형을 바꿀 정도로 새로운 핀테크 기업이 나오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핀테크산업 육성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아직 맹아 단계라는 지적이 많았다. 또 일반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킬러 서비스’가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위 사장은 “더 편리하고 다양한 핀테크 기술이 빠른 속도로 나올 것”이라면서도 “지불결제 이외 영역은 여전히 미진하다”고 말했다.
핀테크업계에선 정부가 크라우드펀딩이라고도 불리는 P2P대출을 여전히 대부업으로 규정하며 핀테크 영역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은 서둘러 고쳐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P2P 대출업계 관계자는 “용어만이라도 전자금융으로 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가 꾸준히 핀테크 관련 규제를 풀고 있다는 점에는 후한 평가가 많았다.
이 부사장은 “핀테크는 개방성을 중요시하는 정보기술(IT)과 보안 및 안정성이 중요한 금융과의 결합”이라며 “자칫 무분별하게 도입했다간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정책 방향과 속도 둘 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금융위의 정책은 개방이라는 큰 방향에 맞춰 단계별로 추진되고 있다고 본다”며 “특히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을 풀어주는 등 금융위가 규제 패러다임을 전환한 덕분에 삼성페이 같은 신개념 결제 서비스가 적기에 나올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핀테크업계를 대표해 참석한 박 대표는 “은행, 카드 등 금융회사가 좀 더 개방적인 방향으로 핀테크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금융회사의 IT망을 외부에 개방하는 오픈API플랫폼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개인이 페이스북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이트에 가입해 개인 블로그를 만드는 것과 똑같이 핀테크 회사들도 은행이 열어놓은 소스코드를 활용해 다양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동휘/김일규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