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제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공장의 전국 확산에 나섰습니다.



특히,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중소·중견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제조 자동화, 공정 시뮬레이션, 초정밀 금형, 공장운영 시스템 등 4대 분야에 대한 스마트공장 확산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2017년까지 경상북도 400개 업체를 포함해 전국 1,000개 기업까지 스마트공장을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삼성전자는 계획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사장급 조직의 `창조경제지원센터`를 신설하고, 글로벌 제조·생산을 총괄하고 있는 글로벌기술센터 김종호 사장을 창조경제지원센터장으로 선임했습니다.



`창조경제지원센터`는 스마트공장지원T/F, 창조경제사무국, 상생협력아카데미 등을 합쳐 총 250명 규모로 운영됩니다.



이중 스마트공장지원T/F에는 삼성전자의 현장혁신, 공장운영시스템, 제조기술 분야에 경험 있는 전문가 등 150여명을 선발·배치하기로 했습니다.



스마트공장지원T/F는 스마트공장 지원 대상업체 발굴부터 시스템 구축 지원, 사후관리 방법론까지 전 분야를 지도하게 됩니다.



삼성전자는 기존에 지원하고 있는 경상북도 지역 외에도 스마트공장 필요 수요에 따라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 별로 2~3명의 멘토를 파견할 계획입니다.



또 창조경제지원센터에 `스마트공장 전문가 양성과정`과 `경북 스마트공장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개발해 직접 체험하고, 기술을 습득하게 하는 등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게 할 방침입니다.



2016년 지원 대상업체는 이번 달 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 하에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스마트공장추진단을 통해 모집할 예정입니다.



김종호 삼성전자 창조경제지원센터장은 "삼성전자가 가진 노하우를 국내 중소·중견기업에 전파해 국내 제조업 전체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임동진기자 djl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송종국, MBC해설위원 계속…박잎선과 이혼은 별개? "하차없다"
ㆍ`강남 칼부림` 칠성파 부두목, 6년만에 검거…주식 투자 손해에 그만
ㆍ 홍진영, "연예인들, 먹어도 안찌는 이유" 폭로
ㆍ전원주 재혼, “야성적인 남편에 반해‥내 눈이 어두웠다” 후회
ㆍ조인성, 스타일리스트에 차 선물…얼마나 벌길래? "억 소리 나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