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훈 의원, 한국해운보증 역할 확대로 활성화 필요

국내 상업은행의 선박금융 비중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김정훈 의원이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해 6일 발표한 '우리나라 상업은행의 선박금융 참여 현황과 문제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상업은행의 총자산 대비 선박금융 비중은 0.2%에 불과했다.

국내 16개 상업은행 가운데 선박금융 취급실적이 있는 은행은 13곳으로, 이들 13곳 상업은행의 총자산은 1천806조3천974억원인데 비해 보유 중인 선박금융 총잔액은 3조6천823억2천600만원에 그쳤다.

은행별 선박금융 비중은 수협은행 1.77%, 부산은행 0.95%로 2개 은행만 1% 안팎에 그쳤을 뿐 나머지 11개 은행은 0.01∼0.50%의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같은 국내 상업은행의 선박금융 비중은 외국의 상업은행과 비교해서도 매우 열악한 수준이다.

세계 최대 선박금융 대출은행은 노르웨이의 DNB은행은 총자산 대비 선박금융 비중이 8.76%에 달했고, 스웨덴의 Nordea도 7.93%로 국내 은행과는 비교가 어려운 지경이다.

국제금융위기 이후 심각한 재정위기에 시달리고 있는 그리스의 Piraerus Bank 역시 선박금융 비중이 5.01%로 한국보다는 월등히 높았다.

또 국내 상업은행의 선박금융 대출 유형을 보면 대출담보, 대출상환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갖는 선순위대출 비중이 92%로 대부분을 차지해 선박금융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승인된 선박금융의 지역별 실적도 서울과 경인 등 수도권은 87.6%에 달한 반면, 조선소와 조선기자재 업체가 밀집한 부산·울산·경남 등 동남권 비중은 12.1%에 그쳐 지역적 편차가 컸다.

김정훈 의원은 "선박금융 활성화는 국내 조선산업과 해운업에 대한 자금지원 효과를 거두는 동시에 은행권에도 수익창출 기회를 제공한다"며 "부산에서 문을 연 한국해운보증의 역할을 확대해 상업은행의 선박금융 후순위대출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josep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