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바쁜데 왜 찾아왔어요. 할 말 있으면 어서 하세요.”

추석 연휴를 나흘 앞둔 22일, 경기 포천시 영중면 신궁전통한과 본사 사무실에서 만난 ‘대한민국 1호 한과 명장’ 김규흔 신궁전통한과 대표(59·사진)는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빠르게 말했다. 그는 “매년 한가위면 온 직원이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진다”며 “지금도 전체 매출의 약 60%가 설과 추석 명절 판매에서 나오고, 예전엔 그 비율이 80~90%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탁자 위에 놓인 꿀약과는 은은한 단맛을 품고 있었다. 한과를 한입에 먹기 쉽도록 작게 줄이고, 간편히 갖고 다닐 수 있도록 낱개 포장한 아이디어 모두 김규흔 명장이 한과 업계에서 최초로 내놓은 것이다. 하지만 그 달콤한 전통과자를 만든 김 명장의 손엔 35년째 한과에만 매진해온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배어 있었다. 그에겐 왼손 검지 한 마디가 없다. 3년 전 작업 중 기계 사고를 당했다. “속상하지 않냐고요? 이 손은 제게 훈장이에요. 사랑하는 일을 미치도록 열심히 해 최고가 되려 노력했다는 걸 증명하는 훈장이죠.”

결혼 후 처가 친척의 한과 사업을 함께하며 한과의 세계에 입문하기 전까지 김 명장에게 한과는 어린 시절 명절이나 제사처럼 특별한 날에만 맛볼 수 있는 귀한 음식이었다. 경북 영덕의 작은 어촌마을에서 태어난 그는 19세 때 무작정 상경해 돈을 벌었다. 군대에 다녀온 뒤 당시 세 들어 살던 집주인의 소개로 부인을 만났고, 그것이 운명을 바꿨다. “맞선 첫날 아내가 갖다준 약과의 맛을 잊을 수 없어요. 얼마나 맛있었는지 몰라요. 처가에서 일을 배우면서도 정말 재미있었죠. 천직이라 생각합니다.”

1981년 신궁병과를 창업하면서 독자적으로 한과의 세계에 뛰어들었다. 영세업체가 난립하던 시절. 좀 더 독특하고 고급스러운 ‘김규흔만의 한과’를 개발하고 싶었다. 170여종의 한과를 내놨고 젊은이 입맛에 맞춰 초콜릿과 한과를 접목하기도 했다. 인터넷 유통망도 적극 활용해 소비자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노력했다. 특히 2008년 30억원을 들여 포천시 영북면에 한과문화박물관을 설립, 한과 전파에 적극 나섰다. 이런 공을 인정받아 2013년 고용노동부로부터 ‘대한민국 한과 명장 1호’(약과 부문)로 지정됐다.

김 명장은 “한과처럼 삶의 순간순간을 함께한 과자가 없다”며 “불교의 차 문화와 사회 질서를 강조한 유교정신, 우리만의 독특한 세시풍속 등 여러 가지 이야기가 한과 안에 녹아있는데 정작 우리가 그걸 고차원적인 문화 콘텐츠로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몇 년 동안 국내에서 디저트 시장이 매우 커졌는데 아직까지 프랑스 마카롱이나 일본 와가시(화과자) 같은 외국 과자가 대중적으로 훨씬 친숙한 게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소비자는 디저트라는 음식만 먹는 게 아니라 디저트를 둘러싼 문화를 먹는 것인 만큼 한과 발전을 위해 국가적으로 나서줬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김 명장의 꿈은 한과가 김장문화처럼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것이다. 한과의 대중화를 위해 기술 전수에도 꾸준히 나서고 있다. “한과는 그저 명절에만 먹는 과자가 아니라 세계 최고의 디저트입니다. 한과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이 되면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아 더 많은 사람이 한과를 찾겠죠. 제 뒤를 이을 한과 명장이 더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