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5일 노·사·정의 노동개혁 대타협과 관련해 사회 지도층을 비롯해 각계각층의 고통 분담 차원에서 ‘청년 일자리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청년 일자리 펀드 조성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솔선수범 차원에서 본인 월급의 일정액을 펀드에 제1호로 기부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노·사·정 대타협의 뜻을 이어가기 위해 저를 비롯한 국무위원 여러분들과 사회 지도층, 그리고 각계 여러분이 앞장서서 서로 나누면서 청년 고용을 위해 노력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고용을 위한 재원 마련에 저부터 단초 역할을 하고자 한다”며 “국무위원을 비롯해 많은 분이 동참해 고통을 나누고 분담하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와 관련, 안종범 경제수석은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과 국무위원들이 노동개혁의 고통을 분담하는 데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어 “청년들이 일자리 기회를 더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청년 일자리 펀드 또는 청년 희망 펀드 같은 이름의 펀드를 만들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사회 지도층을 중심으로 각계각층의 참여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청년 일자리 펀드는 사회 각계각층이 자발적으로 기부금을 내 참여하는 사회적 펀드 형태로 조성될 예정이다. 청년 취업이나 창업을 늘리기 위해 맞춤형 교육, 시범사업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활용된다. 청와대는 내부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청년 일자리 펀드 조성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방침이다.

박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노·사·정 대타협과 관련, “이번 합의는 외환위기 당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협약 이후 17년 만에 성사된 사회적 대타협”이라며 “노동자 여러분의 고뇌에 찬 결단이 결코 희생을 강요하고 쉬운 해고를 강제하는 일이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상생의 정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회에서의 조속한 법안 통과가 필요하다”며 “이념과 당을 떠나 대승적 차원에서 노동개혁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