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이광구 행장도 반납 대열 동참

KB·신한·하나금융 등 3대 금융지주 회장이 물꼬를 튼 연봉 반납이 해당 계열사를 중심으로 금융가에 퍼지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그룹은 계열사 사장과 임원들의 임금 반납 수준을 내부적으로 확정했다.

먼저 조용병 신한은행장이 한동우 그룹 회장과 동일한 30%의 임금을 반납하기로 했다.

카드·금융투자·생명보험·자산운용·캐피탈 등 신한금융 계열사 사장단의 반납 비율은 20%로 정해졌다.

또 기타 그룹사 사장과 부행장, 부사장들은 10%의 임금을 반납하기로 했다.

임금 반납은 9월 급여부터 적용된다.

지난 3일 윤종규 KB, 한동우 신한,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나란히 30%의 연봉을 반납해 신규 채용 확대에 사용하겠다고 전격 발표한 이후 금융권에서 동참 움직임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KB금융 산하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의 임원진도 연봉의 일정 수준을 반납할 예정이다.

김덕수 KB국민카드 사장을 포함한 11명의 계열사 대표이사는 연봉의 20%를, 전무급은 10%가량 반납할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 관계자는 "9월 급여부터 적용하기 위해 금주 중으로 연봉 반납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안다"며 "30% 이하가 될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하나금융도 계열사 대표이사와 전무급 이상 임원들도 연봉의 일부를 반납할 계획이다.

KB금융과 마찬가지로 10~20% 수준이다.

우리은행도 검토 끝에 이날 이광구 행장이 20%를 반납하고 부행장과 자회사 사장들은 10%를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다른 금융지주사와 은행들도 계열사를 포함한 임원진의 임금 반납 수준을 조율하고 있다.

한편 박인규 DGB금융 회장, 성세환 BNK금융 회장, 김한 JB금융 회장 등 지방 금융지주 3사 CEO들도 지난 4일 각각 20% 수준으로 연봉 반납 대열에 합류하겠다고 선언했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고동욱 기자 sncwoo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