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여성 취업자 20대 첫 추월…기혼여성 5명 중 1명 경력단절

'연상녀-연하남' 커플이 더는 신기한 풍경이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23일 서울시가 발간한 '통계로 본 서울여성의 삶'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초혼부부 중 여성이 연상인 부부의 비중이 1991년 이후 처음으로 동갑내기 부부를 초월했다.

초혼부부 중 남성 연상은 2004년 72.5%에서 지난해 68.6%로 감소했고, 동갑은 15.1%에서 15.6%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여성 연상은 12.3%에서 15.8%로 증가했다.

평균 초혼연령은 여성이 30.7세로 2004년 28.3세에서 2.4세 증가했으며, 남성은 32.8세로 2004년 30.9세보다 1.9세 늘었다.

또 지난해 만 13세 이상 여성 중 45.9%는 결혼이 선택사항이라고 답해 '하는 것이 좋다'(38.9%)는 답변보다 많았다.

반드시 해야 한다고 답한 여성은 11.2%에 불과했다.

남성도 비슷한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성은 '선택사항'이란 답변이 가장 높은 반면, 남성은 아직 '결혼은 하는 것이 좋다'는 비율이 45.4%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서울의 출산율은 0.98명을 기록, 가임여성(만 15∼49세) 1명당 평균 출생아 수가 1명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합계출산율은 1.0명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은 1998년부터 초저출산사회에 진입했다.

서울시는 "가임여성 인구 감소와 미혼 증가, 자녀 양육·교육비 부담, 가치관 변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또 출생아 수는 2007년(10만명)을 제외하고 최근 10년간 10만명 이하였으며, 지난해에는 8만 4천명으로 1981년 출생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는 227만 9천명으로 2004년보다 11.8% 늘었다.

또 지난해 50대 여성 취업자는 49만 2천명으로 처음으로 20대 여성 취업자(48만 2천명)를 추월했다.

60세 이상 여성 취업자도 23만 8천명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나타냈다.

서울시는 "1955∼1963년생인 베이비붐세대의 50대 진입, 저출산에 따른 20대 인구 감소, 청년층 취업난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만 15∼54세 기혼 여성 중 경력이 단절된 여성은 33만명으로 18.5%를 차지해 5명 중 1명꼴로 경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lis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