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채권시장 위기`‥회사채 발행 폭증







중국 증시의 폭락과 위안화 절하 충격이 채권시장에까지 후폭풍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국제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증시에서 이탈한 자금이 채권시장으로 흘러드는 가운데 자본유출에 따른 유동성 경색과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증가 등으로 채권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채권시장에서도 레버리지 투자가 성행함에 따라 이때 불량 회사채의 디폴트라도 발생하면 그 충격은 훨씬 심각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7월 한 달간 중국 회사채 발행 규모는 800억 위안, 1~7월의 누적 발행량은 5천억 위안에 달했다.



그동안 해마다 약 1천억~2천억 위안씩 발행되던 것에 비하면 2~5배 늘어난 것으로 증가 속도가 증시보다 더 빠른 편이다. 회사채 단일 발행규모는 몇억에서 최대 몇십억 위안 수준인데 대부분 발행되자마자 즉각 판매되는 상황이다.



◇ 단기시중금리 4개월래 최고…유동성 경색 우려도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의 단기 시중금리는 지난 4월 이후 4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은행시스템의 유동성의 척도인 오버나이트 레포금리는 19일 5bp(1bp=0.01%p) 상승한 1.78%로 올라 지난 4월 23일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7일물 레포금리 역시 3bp 오른 2.53%로 7월 23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날 중국인민은행이 14개 금융기관에 1천100억위안(20조1천900억원)을 공급하면서 유동성 고갈에 대한 우려가 커진 탓이다.



동부증권 채권전략팀의 문홍철 연구위원은 "현재 중국 채권시장을 볼 때 더욱 중요하고 우려할 요인은 위안화 절하에 따른 자금 이탈 현상이다. 이로 인해 유동성이 말라가고 단기금리가 오르고 급등 조짐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기금리는 채권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다"라고 지적했다.



중국에서 자본유출이 심화함에 따라 중국의 외화보유액도 급격하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블룸버그 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인민은행이 위안화 매입에 나서면서 올해 외화보유액이 400억달러(47조2천8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수희기자 shji6027@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강동원 이적설, FNC 반응은? `노홍철-김용만`때와 같아…
ㆍ강동원, 장윤주 "순수하고 착해서…" 과거 사심 발언 `깜짝!`
ㆍ"홍진영" SNS에 공개!! 하루종일 먹어도 "이것"이면 몸매 걱정 끝?!
ㆍ"강동원을 잡아라"…대형 기획사 물밑 접촉
ㆍ디스패치vs강용석, 신아영 아나운서와는 무슨 사이?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