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지난해 한국과의 교역액이 2905억달러(341조원)로 제3위의 무역상대국인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중국 인민일보에 따르면 상무부는 최근 개막한 제10차 중국-동북아 박람회에서 지난해 중국과 동북아지역 국가간 무역액이 총 7120억3200만달러로 중국 대외무역의 17%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중 일본과 무역액이 3124억8400만달러(367조원)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국 2905억6300만달러, 러시아와 952억8500만달러, 몽골 73억달러, 북한 63억8800만달러 순이었다.

이에 따라 일본과 한국은 중국의 제2, 제3의 무역 상대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동북아 국가가 중국에 투자한 규모는 총 83억3600만달러로 중국이 전세계에서 유치한 외자의 6.5%를 차지했다.

이중 한국은 총 39억6600만달러(4조6000억원)를 중국에 투자했고, 중국의 대(對) 한국 투자액은 4억9400만달러(5800억원)에 그쳤다.

한중간 외국인투자의 순유출입 차이가 8배에 달했다.

일본도 중국에 43억2500만달러를 투자했지만 중국의 대일본 투자액은 2억3400만달러에 머물렀다.

중일간 상호 투자액 차이는 18배를 넘었다.

대중 투자국 순위에서도 일본과 한국은 각각 2, 3위였다.

반면 북한과 몽골, 러시아에 대해서는 중국의 투자액이 훨씬 많았다.

중국은 북한에 1008만달러를 투자했지만 북한이 중국에 투자한 액은 29만달러에 불과했다.

중국의 대러시아, 대몽골 투자액은 각각 7억9000만달러, 4억9400만달러에 달했으나 러시아와 몽골이 중국에 투자한 자금은 4100달러, 16만달러 수준에 그쳤다.

이전 교역액과의 증감 추이는 밝혀지지 않았다.

쑹야오밍(宋耀明) 상무부 아주사(司) 부사장은 박람회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며 두만강 지역에 한중일 산업 합작지대를 건설하는 계획도 점차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전했다.

쑹 부사장은 이어 지난 6월 정식 서명을 마친 한중 FTA에 관한 질문에 "한중 무역체계가 제도적 설계 단계를 넘어서 새로운 발전시기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며 "이는 동북아지역의 무역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