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日 미시마 유키오 소설 표절 논란…의혹 구절 보니 '깜짝'

소설가 신경숙이 재차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신경숙이 일본 작가 미시마 유키오의 작품을 표절했다는 주장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신경숙, 일본 소설 표절 파문…의혹 구절 보니 '깜짝'(사진=한국경제 DB)
신경숙, 일본 소설 표절 파문…의혹 구절 보니 '깜짝'(사진=한국경제 DB)
소설가 겸 시인인 이응준씨는 16일 한 온라인 매체에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이란 제목의 기고문을 싣고 창작과비평이 출간한 신경숙 작가의 '오래전 집을 떠날 때' 가운데 수록된 단편 '전설'의 한 대목(240~241쪽)이 유키오의 '우국' 한 구절을 그대로 따온 표절이라고 주장했다.

신경숙 작가의 '전설'에서 표절 의혹을 받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두 사람 다 실로 건강한 젊은 육체의 소유자였던 탓으로 그들의 밤은 격렬했다.
밤뿐만 아니라 훈련을 마치고 흙먼지투성이의 군복을 벗는 동안마저 안타까와하면서 집에 오자마자 아내를 그 자리에 쓰러뜨리는 일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레이코도 잘 응했다. 첫날밤을 지낸 지 한 달이 넘었을까 말까 할 때 벌써 레이코는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고, 중위도 그런 레이코의 변화를 기뻐하였다." (미시마 유키오 '금각사, 우국, 연회는 끝나고' 233쪽. 김후란 옮김. 주우세계문학전집. 1983년 발행)

"두 사람 다 건강한 육체의 주인들이었다. 그들의 밤은 격렬하였다.
남자는 바깥에서 돌아와 흙먼지 묻은 얼굴을 씻다가도 뭔가를 안타까워하며 서둘러 여자를 쓰러뜨리는 일이 매번이었다. 첫날밤을 가진 뒤 두 달 남짓, 여자는 벌써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 여자의 청일한 아름다움 속으로 관능은 향기롭고 풍요롭게 배어들었다. 그 무르익음은 노래를 부르는 여자의 목소리 속으로도 기름지게 스며들어 이젠 여자가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니라 노래가 여자에게 빨려오는 듯했다. 여자의 변화를 가장 기뻐한 건 물론 남자였다." (신경숙)

이응준은 특히 “기쁨을 아는 몸이 되었다”는 역자의 표현을 거론했다. 이응준은 "이러한 언어조합은 가령, '추억의 속도' 같은 지극히 시적 표현으로서 누군가 어디에서 우연히 보고 들은 것을 실수로 적어서는 결코 발화될 수 없는 차원의, 그러니까 의식적으로 도용하지 않고서는 절대로 튀어나올 수 없는 문학적 유전공학의 결과물"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표절 의혹 제기와 관련해 "신경숙은 한국문학의 당대사 안에서 처세의 달인인 평론가들로부터 상전처럼 떠받들어지고 있으며 동인문학상의 종신심사위원을 맡는 등 한국문단 최고의 권력이기도 하다"면서 "신경숙이 저지른 표절이 (중략) 하루하루가 풍전등화인 한국문학의 본령에 입힌 상처는 그 어떤 뼈아픈 후회보다 더 참담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신경숙 작가에 대한 표절 시비는 과거에도 불거진 바 있다. 신경숙 작가가 1999년 발표한 소설 '딸기밭'과 장편 '기차는 7시에 떠나네', 단편 '작별인사' 등 작품들도 크고 작은 표절 시비에 휘말렸다.

신경숙은 1985년 문예중앙 소설 '겨울우화'로 등단했다. '엄마를 부탁해'를 통해 최단기간 200만부 판매기록을 수립하고, 전 세계 34개국 번역 출간되며 세계적인 작가 반열에 오른 바 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