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다니는 하늘길…무인차 도로 연내 지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미래 유망산업인 무인기(드론), 자율주행자동차 등 차세대 무인이동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테스트 기반을 구축하는 등 지원에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산·학·연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에게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정부 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에 분산된 무인이동체 관련 기술을 연계시키고 기술 개발과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발전 전략의 핵심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무인이동체가 지금 속도로 발전한다면 전(全) 산업과 사회에서 빅뱅을 일으킬 것”이라며 “무인이동체 기술과 관련해 국가 차원의 통합적 산업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 화성에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구축
수직이착륙 무인기 '틸트로터' 상용화도
정부는 연내 무인기 관련 기술을 자유롭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국내에 시범 공역을 지정한다. 지금까지 12㎏ 이상 무인기를 날리려면 정부의 사전 등록을 받아야 했다. 경기 화성시 자동차안전연구원에는 내년부터 2019년까지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로와 시가지 등을 재현한 실험도시(K-City)를 구축한다. 2017년에는 서울 톨게이트에서 호법 분기점까지 자율주행 시범도로도 설치한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틸트로터(tilt-rotor)형 무인기 상용화도 추진한다. 틸트로터는 프로펠러를 하늘로 향하게 하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고 비행 중에는 이를 수평방향으로 바꿔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2년 세계 두 번째로 틸트로터 무인기를 개발했지만 이후 후속 사업을 찾지 못해 상용화가 지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부터 5년간 2500억원을 투자해 200㎏급 상용 모델 개발에 나선다. 관련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상용 모델이 나오면 해상 정찰과 구조, 산불 감시, 도서지역 물자 전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틸트로터는 활주로가 필요 없어 자가용 비행기(PAV) 시대를 앞당길 수 있다.
무인이동체 기술은 비행기, 자동차, 탐사선 등 육·해·공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연구기관별로 필수 기술을 각각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센서,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 항법, 통신, 보안 등 공통기술 개발을 연계할 수 있도록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이 참여하는 무인이동체발전협의회도 구성한다. 무인기로 작물 현황을 파악하면 무인농기계가 나가 풀을 뽑는 등 이종 무인기기 간 연계 기술도 개발한다. 또 2021년까지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에 적용 가능한 국산 수중건설 무인화 장비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무인이동체 시장 규모는 올해 251억달러에서 2025년 1537억달러로 연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추정한다. 하지만 자율주행차에 사용하는 센서, 제어장치 등 주요 기술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이른 시일 내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세계 무인이동체 10대 가운데 한 대를 한국이 생산하고 연간 관련 매출 1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자문회의는 건설·토목·플랜트 등 엔지니어링산업 분야 기술 자립화를 위해 국내 유일의 시추선 두성호를 이을 두 번째 한국형 해양시추선 개발을 건의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산·학·연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에게 ‘무인이동체·엔지니어링산업 발전전략’을 보고했다. 정부 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에 분산된 무인이동체 관련 기술을 연계시키고 기술 개발과 테스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게 발전 전략의 핵심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무인이동체가 지금 속도로 발전한다면 전(全) 산업과 사회에서 빅뱅을 일으킬 것”이라며 “무인이동체 기술과 관련해 국가 차원의 통합적 산업발전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 화성에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구축
수직이착륙 무인기 '틸트로터' 상용화도
정부는 연내 무인기 관련 기술을 자유롭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국내에 시범 공역을 지정한다. 지금까지 12㎏ 이상 무인기를 날리려면 정부의 사전 등록을 받아야 했다. 경기 화성시 자동차안전연구원에는 내년부터 2019년까지 자율주행차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로와 시가지 등을 재현한 실험도시(K-City)를 구축한다. 2017년에는 서울 톨게이트에서 호법 분기점까지 자율주행 시범도로도 설치한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틸트로터(tilt-rotor)형 무인기 상용화도 추진한다. 틸트로터는 프로펠러를 하늘로 향하게 하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고 비행 중에는 이를 수평방향으로 바꿔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2년 세계 두 번째로 틸트로터 무인기를 개발했지만 이후 후속 사업을 찾지 못해 상용화가 지연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부터 5년간 2500억원을 투자해 200㎏급 상용 모델 개발에 나선다. 관련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상용 모델이 나오면 해상 정찰과 구조, 산불 감시, 도서지역 물자 전달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틸트로터는 활주로가 필요 없어 자가용 비행기(PAV) 시대를 앞당길 수 있다.
무인이동체 기술은 비행기, 자동차, 탐사선 등 육·해·공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지만 연구기관별로 필수 기술을 각각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센서, 원격 제어 소프트웨어, 항법, 통신, 보안 등 공통기술 개발을 연계할 수 있도록 정부출연연구소, 대학, 기업 등이 참여하는 무인이동체발전협의회도 구성한다. 무인기로 작물 현황을 파악하면 무인농기계가 나가 풀을 뽑는 등 이종 무인기기 간 연계 기술도 개발한다. 또 2021년까지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에 적용 가능한 국산 수중건설 무인화 장비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무인이동체 시장 규모는 올해 251억달러에서 2025년 1537억달러로 연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업계는 추정한다. 하지만 자율주행차에 사용하는 센서, 제어장치 등 주요 기술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이른 시일 내 기술 격차를 좁히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세계 무인이동체 10대 가운데 한 대를 한국이 생산하고 연간 관련 매출 15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자문회의는 건설·토목·플랜트 등 엔지니어링산업 분야 기술 자립화를 위해 국내 유일의 시추선 두성호를 이을 두 번째 한국형 해양시추선 개발을 건의했다.
김태훈 기자 tae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