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규제완화



그린벨트 규제완화, 어떻게? 중소 규모 개발 본격화 전망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관련 규제가 대폭 완화되면서 중소 규모 그린벨트 개발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수도권에서는 아파트 단지 개발을, 부산 광주 대구 등 지방 대도시권에서는 산업단지 중심의 개발이 추진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린벨트 규제완화





정부는 6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 겸 민관합동 규제개혁점검회의`를 열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 개혁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그린벨트 내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지역특산물의 가공·판매·체험 시설 등을 허용하고, 취락지구 내 음식점은 건축 규제를 풀어 건폐율 40%, 용적률 100%까지 건축을 허용하기로 했다.



또 지방자치단체가 30만㎡ 이하의 개발 사업을 할 때는 국토부가 보유한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위임해 지자체가 그린벨트 해제와 개발계획 수립을 한꺼번에 담당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린벨트 내 2000~3000가구 주택건설 사업은 지자체 재량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하남, 과천, 의왕, 고양, 남양주시 등 서울과 인접한 지역은 교통 여건이 좋아 주택 수요는 많지만 대부분 면적의 70~90%가 그린벨트로 묶여 있다.



내년부터 보전 가치가 낮은 수도권 그린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등 도시개발 사업이 본격화할 것으로 건설업계는 전망한다. 또 지방에서는 교통이 편리한 곳을 중심으로 산업단지와 주택단지 개발이 동시에 추진될 것으로 국토부는 내다봤다.



국토부는 또 종전 2년 가까이 걸리던 그린벨트 해제 소요기간을 1년 내외로 단축할 방침이다. 규제 완화로 인한 난개발을 막기 위해 현행 해제 총량(233㎢)을 유지하고, 환경 등급이 높은 곳은 엄격히 보전한다는 방침이다.



지자체가 그린벨트를 풀 때 △국토부 등 관계부처 사전 협의 △2년 내 미착공 시 그린벨트 환원규정 신설 △환경 등급 높은(1~2등급지) 지역은 불허 등의 원칙을 정했다.



해제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자투리 그린벨트도 지방도시계획위의 심의를 거쳐 해제할 수 있도록 했다. 도로, 하천 등으로 단절된 1만㎡ 미만의 개발제한구역과 집단취락 등 해제 구역으로 둘러싸인 1000㎡ 이하의 그린벨트가 대상이다. 경기·대전·대구 등 12개 시·도의 경계지역 그린벨트 40만㎡가 해제 대상이 될 전망이다.



현재 지역 특산물의 소규모 가공시설 정도만 허용되고 있는 그린벨트 내 개발규제도 완화하기로 했다.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한 판매·체험시설 등의 설치도 가능해진다.



거주 기간에 따라 시설 설치를 차별하는 기준도 폐지하기로 했다. 버스나 화물차 차고지에 종합정비시설을, 주유소에는 세차장·편의점과 같은 부대시설을 설치하는 것도 허용한다.



또 그린벨트 내 축사 등 건축물 무단 용도변경으로 훼손된 지역을 정비하기 위해 ‘공공기여형 훼손지정비제도’를 도입한다. 2018년 이후에는 불법으로 이용하고 있는 시설을 전환하지 않을 경우 이행강제금을 상한(현재 연 1억원) 없이 지속적으로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연말까지 법률과 시행령을 개정해 이르면 내년 초부터 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다.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장현승 `니가 처음이야` 티저 황승언vs유승옥, "D컵 볼륨으로 아이돌 홀렸나…"
ㆍ이혁재 집 인도명령, 부인 "나가 죽어라, 왜 안 죽었니… 깜짝 놀랐다"
ㆍ수상한 로또 763억! 1등 당첨자 37명 모두 한곳에서.. 폭로된 진실!
ㆍ윤소희 카이스트, 男心 홀리는 `쭉쭉 볼륨+빵빵 스펙`‥비결이 뭐야?
ㆍ남태희 무차별 폭행 영상 보니..뒤따라온 상대편 얼굴을 발로 `헉` [영상]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