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지주사보다 스마트폰·반도체 투자가 우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주사 체제로 전환 않는다
삼성그룹의 ‘지주회사 체제 전환설’은 삼성의 지배구조를 예측할 때마다 꾸준히 제기됐던 단골 메뉴다.
증권가에선 삼성이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제일모직을 지주회사로 전환하거나 삼성전자를 사업회사와 투자회사(가칭 삼성전자홀딩스)로 분할한 뒤 삼성전자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만드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제일모직과 삼성전자홀딩스를 합병할 것이란 얘기도 나왔다. 이 같은 지주회사 전환설이 나오는 배경은 한 번 지배구조를 짜놓으면 삼성전자, 삼성생명 등 그룹의 핵심 계열사에 대해 오너 일가가 안정적인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너 일가는 지주사 지분만 충분히 확보하면 지주사를 통해 다른 계열사를 지배할 수 있다.
하지만 삼성은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가장 큰 이유는 막대한 비용 부담 때문이란 설명이다. 공정거래법상 지주사는 상장 자회사의 경우 20% 이상, 비상장 자회사는 40% 이상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증권가에선 삼성이 이 규정에 맞춰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려면 계열사 지분 매입에 수조원대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은 이만한 비용을 부담하느니 그 돈을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핵심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그룹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훨씬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승계에 별 지장이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예컨대 이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 3.38%와 삼성생명 지분 20.76%만 물려받으면 삼성그룹 전체를 지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대신 오너 일가는 자체적으로 상속세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그룹 지분 가치는 총 12조원가량이다. 상속세율이 50%기 때문에 오너 일가는 6조원의 상속세를 내야 한다. 삼성은 이미 수차례에 걸쳐 “오너 일가가 상속세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금융 부문은 지주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 부문 지주사로는 삼성생명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이 경우도 문제는 있다. 우선 현행 공정거래법상 금융 부문만 따로 떼내 지주사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지주사 아래에 금융 부문 지주사(중간금융지주회사)를 둘 수 있도록 공정거래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나마 중간 금융지주사는 지주사 체제의 전환을 전제로 한 것이다.
삼성생명이 갖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 7.2%도 금융지주사 설립의 걸림돌이다. 금융지주사는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 규정에 따라 제조회사 지분을 가질 수 없어서다. 삼성생명이 금융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삼성전자 지분을 다른 계열사 등에 팔아야 한다. 이 지분 가치가 현재 14조원에 달해 주식을 살 만한 삼성 계열사를 찾기가 쉽지 않다.
주용석/남윤선 기자 hohoboy@hankyung.com
증권가에선 삼성이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제일모직을 지주회사로 전환하거나 삼성전자를 사업회사와 투자회사(가칭 삼성전자홀딩스)로 분할한 뒤 삼성전자홀딩스를 지주회사로 만드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제일모직과 삼성전자홀딩스를 합병할 것이란 얘기도 나왔다. 이 같은 지주회사 전환설이 나오는 배경은 한 번 지배구조를 짜놓으면 삼성전자, 삼성생명 등 그룹의 핵심 계열사에 대해 오너 일가가 안정적인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너 일가는 지주사 지분만 충분히 확보하면 지주사를 통해 다른 계열사를 지배할 수 있다.
하지만 삼성은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가장 큰 이유는 막대한 비용 부담 때문이란 설명이다. 공정거래법상 지주사는 상장 자회사의 경우 20% 이상, 비상장 자회사는 40% 이상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증권가에선 삼성이 이 규정에 맞춰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려면 계열사 지분 매입에 수조원대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은 이만한 비용을 부담하느니 그 돈을 스마트폰과 반도체 등 핵심사업에 투자하는 것이 그룹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훨씬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승계에 별 지장이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 예컨대 이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 3.38%와 삼성생명 지분 20.76%만 물려받으면 삼성그룹 전체를 지배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대신 오너 일가는 자체적으로 상속세 재원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그룹 지분 가치는 총 12조원가량이다. 상속세율이 50%기 때문에 오너 일가는 6조원의 상속세를 내야 한다. 삼성은 이미 수차례에 걸쳐 “오너 일가가 상속세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선 금융 부문은 지주사로 전환할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금융 부문 지주사로는 삼성생명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하지만 이 경우도 문제는 있다. 우선 현행 공정거래법상 금융 부문만 따로 떼내 지주사를 만들기가 쉽지 않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지주사 아래에 금융 부문 지주사(중간금융지주회사)를 둘 수 있도록 공정거래법 개정을 추진했지만 아직 국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나마 중간 금융지주사는 지주사 체제의 전환을 전제로 한 것이다.
삼성생명이 갖고 있는 삼성전자 지분 7.2%도 금융지주사 설립의 걸림돌이다. 금융지주사는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 규정에 따라 제조회사 지분을 가질 수 없어서다. 삼성생명이 금융지주사로 전환하려면 삼성전자 지분을 다른 계열사 등에 팔아야 한다. 이 지분 가치가 현재 14조원에 달해 주식을 살 만한 삼성 계열사를 찾기가 쉽지 않다.
주용석/남윤선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