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성균관대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김도관 교수(성균관대 의대·사진) 연구팀은 2006~2011년 우리나라 시도별 환경오염지수와 자살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5대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와 오존 농도가 짙어지면 자살률도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미세먼지 발생 시 1주일 기준으로 대기 중 농도가 37.82μg/㎥ 증가할 때마다 우리나라 전체 자살률이 3.2%씩 늘어난 것을 입증했다. 또 한 주간 오존 농도가 0.016ppm 상승하면 그 주의 자살률도 7.8% 올랐다.
연구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연간 자살률은 29.1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미세먼지나 오존 등 대기오염 물질이 중추 신경계의 면역 체계와 신경전달물질을 교란하거나 평소 질환을 악화시키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이 경우 우울감과 충동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대기오염이 지속되면 신체의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에 변화가 생겨 자살과 관련 있는 기분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오존은 세로토닌 대사에 악영향을 끼쳐 자살 위험을 높이는 요소로 지목됐다.
김 교수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새삼 깨닫게 된다”면서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가 있지만 대기오염 또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이 밝혀진 만큼 자살예방대책에 이 부분도 반영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미국 학술지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PLOS)’에 최근 발표됐다.
한경닷컴 김봉구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