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단체 "전단 살포 강행"…북한 "선전포고로 간주"

오는 26일로 예정된 천안함 사건 5주기를 열흘 앞두고 남북한 사이에 대북전단 살포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탈북자단체와 보수단체들이 26일을 전후로 전단 살포를 강행할 계획인 가운데 북한은 전례없는 고강도 대응을 경고해 무력충돌 위험까지 커지는 분위기다.

탈북자단체인 자유북한운동연합의 박상학 대표는 16일 "천안함 폭침 5주기인 26일쯤 예정대로 대북전단을 살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대표는 "대북전단 50만장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영화 '인터뷰' 편집분이 담긴 USB와 DVD를 5천개씩 날려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북전단 살포는 자유북한운동연합뿐 아니라 보수단체인 국민행동본부를 포함한 5개 단체가 비공개로 진행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정부의 대북전단 살포 자제 요청은 아직 받지 않았다"며 "정부가 공문으로 자제 요청을 하더라도 전단 살포를 강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다음달 초에도 미국 인권재단(HRF)을 비롯한 외국 단체들과 대북전단을 살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겨울이 지나 풍향이 대북전단 살포에 용이하게 바뀌는 만큼 국내 단체들의 전단 살포가 다시 활성화될 가능성도 커졌다.

이에 맞서 북한은 한미 합동군사연습이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대북전단이 뿌려질 경우 전례없는 무력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하고 있다.

대남선전용 웹사이트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북침전쟁연습이 한창 벌어지는 속에서 또다시 감행되게 될 인간쓰레기들의 삐라살포 행위는 공공연한 선전포고"라고 경고했다.

우리민족끼리는 한미 합동군사연습 기간에 대북전단이 뿌려질 경우 남북간 총격전 가능성이 크다는 영국의 군사전문지 'IHS제인스'의 최근 분석도 인용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도 정부가 대북전단 살포를 '표현의 자유'로 간주해 묵인하면서 박근혜 대통령 비방 전단을 단속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라고 비난했다.

앞서 우리민족끼리는 지난 2일 북한군이 작년 10월 대북전단 살포에 총격을 한 사실을 거론하며 이번에는 "대포나 미사일로 대응할 수도 있음을 숨기지 않는다"고 위협했다.

독수리 한미 합동군사연습이 다음달 24일까지 진행되는 상황에서 대북전단 살포로 인한 무력충돌 위험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아직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대북전단 살포가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는 정부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며 "국내 단체들의 오는 26일 무렵 전단 살포 계획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식으로 자제를 요청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ljglor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