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의 젊은층에서 TV 주시청시간대에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계속 늘어남에 따라



이들이 장년세대로 갈수록 스마트폰의 TV 대체 효과가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14일 임정수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등이 내놓은 `성별, 연령대, 요일에 따른 시간대별 미디어 이용의 집중도 분석` 논문을 보면



20∼30대와 40∼50대의 TV 주 시청시간대(오후 7시∼11시) 행동패턴이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TV 주 시청시간대에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확연히 늘어나고 가정용 TV 시청 시간이 감소했는데



30대도 20대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는 게 임 교수의 설명이다.



반면, 40대와 50대는 저녁 시간대에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주는 대신



가정용 TV를 보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 교수는 "스마트폰이 가정용 TV를 대체하는 효과는 연령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났다"며



"앞으로 세대가 교체되면 스마트폰이 가정용 TV를 대체하는 현상이 보편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2년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됐다.



이 데이터는 10,319명의 패널이 종이 매체, TV, 컴퓨터, 전화기 등 32개 미디어 이용기록을 15분 단위로 작성한 것이다.


양승현기자 yanghas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가인 턱선 실종+후덕해진 허벅지? …과거 19금 화보, 비교해보니
ㆍ힐링캠프 핑클 이효리 성유리…꽉찬 C컵 볼륨 vs 반전볼륨 화보 `헉`
ㆍ로또 1등 당첨자, "자동은 미친짓이야!" 폭로!!
ㆍ추신수, 아버지 5억 안 갚아 구치소 감치..."아들이 추신수인데 갚는다"
ㆍ영턱스클럽 근황 공개, 임성은 스파사업가-성진아 홈쇼핑 PD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