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3일까지 실질적 협상 통한 새 합의서 체결 추진

외환은행 노동조합이 하나금융지주에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 논의를 중단하고, 곧바로 본협상에 들어갈 것을 공식 제안했다.

김근용 외환은행 노조위원장은 12일 오후 명동 외환은행 본점 노조 사무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어제 하나금융 대리인인 외환은행장에게 서신을 보내 향후 60일 이내인 3월 13일까지 통합여부, 통합원칙, 인사원칙 등에 관한 실질적 협상을 통해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할 것을 정식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하나금융)지주 측이 정당한 것처럼 포장되고 있다.

대승적 차원에서 노조가 논의의 장에 나서겠다.

금융위도 양측 대화가 원만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도록 균형 있는 자세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외환은행 노조, 하나금융, 금융위 등 노·사·정은 2012년 2월 17일 향후 5년간 하나·외환은행 통합에 관한 논의를 하지 않는다는 '2.17 합의서'에 서명한 바 있다.

그러나 하나금융이 통합을 강행하면서 이를 저지하려는 외환 노조의 반발이 이어졌고, 이에 가담한 외환 노조 조합원의 징계처분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이후 외환은행 노조는 지난해 10월 하나금융에 '외환은행의 발전적 미래를 위한 조건 없는 대화'를 제안했고, 협상의 진정성과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금융위의 중재 하에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이 추진됐다.

그러나 대화 기간에 '통합절차 잠정중단 여부', '무기계약직 정규직 전환'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본협상이 개시조차 되지 못한 채 시간만 흘렀다.

김 위원장은 "하나금융이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을 '노사 상생을 위한 공동선언문' 정도로 변질시켰다"면서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으로 본 협상도 개시하지 못하고 대화가 경색되는 상황이라면 실질적인 사항에 관한 협상을 신속하고도 밀도 있게 진행해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통합과 관련해 노조와 합의가 없어도 통합승인신청서를 처리할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에 대해 "금융위도 2·17 합의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서 "노사 간의 진정성 있는 대화를 촉구한 차원이라고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이날 참여연대를 비롯한 금융정의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등은 외환·하나은행은 조기합병 추진을 반대한다는 성명을 냈다.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redflag@yna.co.kr